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자동차

반년 연속 ‘수출 증가세’…반도체 ‘웃고’, 자동차 ‘울고’

반년 연속 ‘수출 증가세’…반도체 ‘웃고’, 자동차 ‘울고’

우리나라 올해 3월 수출액이 지난해 동기보다 3% 이상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4대 정보기술(IT) 분야의 수출 증가율이 눈에 띄는 반면 전기차 수출이 주춤하면서 자동차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출 흐름을 보였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3월 수출액은 565억6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이승욱 기자 2024-04-01 14:30:59
정의선·구광모, 車 업계 거물로 통했다…상위권에 이름 올려

정의선·구광모, 車 업계 거물로 통했다…상위권에 이름 올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올해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지가 선정하는 세계 자동차 업계에 영향력이 있는 인사 중에서 5위, 10위에 각각 이름을 올렸다. 정 회장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이끈 능력을 인정 받았고, 구 회장은 전장사업을 중심으로 완성차 업계에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됐다. 6일 ‘모터트렌드’ 홈페이지에 따르면 정 회장은 &l
권태욱 기자 2024-03-06 17:50:06
당정 “지역가입자 건보 기준서 자동차 제외”…333만 가구 부담 완화

당정 “지역가입자 건보 기준서 자동차 제외”…333만 가구 부담 완화

정부와 국민의힘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자동차에 대해 부과하는 보험료를 2월부터 없애기로 했다. 당정은 5일 국회에서 ‘건강보험 보험료 개선방안 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브리핑에서 밝혔다. 현재는 잔존가액 4천만원 이상의 자동차에 대해 건보료가 부과된다. 단, 영업용 차량, 장애인 보유 차량은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승욱 기자 2024-01-05 18:17:35
韓 무역수지 2년 연속 적자…“6월 이후 호조세”

韓 무역수지 2년 연속 적자…“6월 이후 호조세”

우리나라가 지난해 2년 연속 적자 기록을 냈다. 2022년과 비교하면 적자 규모는 다소 줄었지만 100억달러 가까운 무역수지 적자 기록이다. 다만 지난해 6월 이후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무역수지 개선 여지를 보여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은 6천326억9천만달러로 직전해인 2022년과 비교하면 7.4% 감소했
이승욱 기자 2024-01-01 11:21:45
공정위, 아파트 인지세 떠넘기기 관행 개선…분양 공급업자도 부담

공정위, 아파트 인지세 떠넘기기 관행 개선…분양 공급업자도 부담

아파트를 분양받는 사람이 수십만원 가량의 인지세를 모두 내던 ‘인지세 떠넘기기’ 관행이 개선된다. 앞으로 계약 당사자인 공급업자와 수분양자는 인지세를 절반씩 나눠 부담해야 한다.공정위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아파트 표준 공급계약서‘의 개정을 발표했다.그동안 업계에는 아파트 분양계약서를 작성할 때 수분양자가 인지세를 전부 부담하도록 하는
연합뉴스 2023-12-13 10:09:20
60∼70대 ‘車시장 큰손’ 됐다…30대보다 새차 더 구입

60∼70대 ‘車시장 큰손’ 됐다…30대보다 새차 더 구입

올해 자동차 판매 시장에서 60~70대가 30대를 제치고 ‘큰 손’으로 떠올랐다. 11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의 최근 10년간 연령별 신차 등록 대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들어(1∼11월) 60∼70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22만4095대로, 30대의 등록 대수(19만5182대)를 넘어섰다.30대의 올해 월평균 신차등록 대수가 1만7743대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60∼70대가 30대를 제칠 가능성이 크
권태욱 기자 2023-12-11 10:24:39
반도체 생산 부진 지속…지역경제 3분기 ‘보합’

반도체 생산 부진 지속…지역경제 3분기 ‘보합’

올 3분기 지역경제가 ′보합′ 수준에 머무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도체 생산 부진과 자동차의 성장세 둔화로 제조업 생산이 보합을 유지했기 때문이다.25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2023년 9월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지역경제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 운수, 부동산 등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제조업 생산은 조선, 디스플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25 15:27:40
1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