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PEC] 李 대통령, ‘AI 이니셔티브’,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제안
2025-11-01
이재명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중국의 협력을 요청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평화 발전을 위해 에너지를 불어넣겠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1일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평화 정착과 양국의 호혜 발전을 위해 협력하자는데 입을 모았다.
먼저 이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해 한중 양국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길 기대한다”며 “역내 안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중국과 북한의 고위급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며 “이는 대북 관여 조건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시 주석의 방한에 대해서 “지난 6월 통화를 한 뒤로 직접 만나 뵙기를 참으로 기다려왔다”며 “2014년 7월 이후 11년 만에 국빈으로 방한해 주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 2009년 방문하셨던 경주에서 뵙게 돼 기쁘다”고 환영인사를 건넸다.
이 대통령은 “경주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방문이어서 더욱 뜻깊다”며 “과거 APEC은 한중 수교를 촉진하는 소통의 플랫폼 역할을 했다. 이번 방한을 계기로 양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성숙하게 발전시킬 협력 플랫폼으로 APEC을 활용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제 분야 교류·협력에 대해 “지난 30여년간 한중 양국이 발전시켜 온 상호 보완적 협력 관계는 중국이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고, 우리나라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을 갖춘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재 한중 간의 경제협력은 수직적인 분업구조에서 수평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양국 관계도 호혜적 구조로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두 사람은 지방에서부터 국민과 함께 호흡하며 국가 지도자로 성장한 공통점이 있다”며 “이같은 경험이 양 국민이 체감하는 실질적 성과를 만들어 나갈 좋은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시진핑 주석은 “중국은 한국 측과 소통을 심화하고 도전에 함께 대응해 중한(中韓) 전략적 관계의 안정적이고 장기적 발전을 추진하면서 지역의 평화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불어넣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한 양국은 이사 갈 수 없는 중요하고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협력 동반자”라며 “수교 이래 양국이 사회 제도와 이데올로기 차이를 뛰어넘어 각 분야 교류와 협력을 추진함으로써 서로의 성공을 도와주면서 공동번영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한관계의 건강하고 안정적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 언제나 양국 국민의 이익에 부합하고 시대 흐름에 부합하는 선택”이라며 “중국은 중한관계를 중시하고 대(對) 한국 정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 대통령의 초청에 응해 11년 만에 다시 국빈 방한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지난 6월 이 대통령의 당선 이후 우리는 여러 방식으로 소통하면서 중한 관계의 안정적 출발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저와 중국 대표단 환영을 위한 준비에 사의를 표한다”며 “한국의 APEC 성공적 개최를 축하한다”고 화답했다.
이날 모두발언을 양 정상들은 한반도 평화 정착과 양국 경제 호혜 발전을 위해 협력하자는데 공감하는 분위기였다.
미중 무역갈등 상황에서 한중 관계가 호혜 발전을 위해 협력이 이뤄진다면 한국에게는 또다른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