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젠, BAL0891·티슬렐리주맙 병용 임상 식약처 IND 승인
2025-09-10

치매예방을 위한 노인성 난청 조기 진단 필요성이 제기됐다. 난청·보청기 급여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한이과학회가 지난 9일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개최한 제59회 귀의날 맞이 대국민 귀 건강 포럼에서 이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학회 측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 65세 이상 인구의 약 20%가 양측 중등도 이상의 난청을 겪고 있다. 이는 약 205만명이 보청기나 인공와우와 같은 청각 재활 기기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난청은 인지 기능 저하와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소다. 난청은 치매 위험 요인의 약 8%를 차지하고, 조기 교정할 경우 치매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해외 연구결과 난청 환자에서 뇌의 청각 피질과 측두엽 부위가 위축되는 현상이 보고된 바 있다.
프랑스·미국내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는 보청기 착용군이 미착용군보다 치매 발생 위험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같은 경향은 특히 70세 미만 난청 환자에서 보청기를 꾸준히 사용한 경우 치매 위험이 약 61% 감소했다.
인공와우 수술 환자의 약 1/3 은 수술 후 인지 기능이 정상화됐고, 치매 진행 비율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일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난청은 단순히 '잘 안 들리는 것'을 넘어 두뇌 건강과 직결된 문제로, 노인성 난청을 조기에 진단하고 보청기나 인공와우와 같은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인지 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난청과 보청기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등이 필요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현행 건강보험 제도는 중등도 이상의 청각장애 진단을 받은 경우에만 보청기 급여를 지원한다.
따라서 상당수 경도 난청 노인들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상태다. 초기 난청 상태에서 보청기 착용 시 증상 악화 예방에 도움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더 큰 의료비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게 학회 측 진단이다.
문 교수는 "우리나라는 60 데시벨 이상의 아주 중고도 이상 난청환자들만 대상으로 지원하고 한쪽만 지원하며 5년에 한 번씩 지원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