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삼성자산운용, KODEX ETF 순자산 90조원 돌파

업계 최초…6월 순자산 80조원 돌파 이후 79일 만
이현정 기자 2025-09-11 15:34:46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90조원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KODEX ETF의 순자산은 지난 6월 80조원을 넘어선 이후 79일 만에 10조원 이상 늘었다.

현재 KODEX가 운용하고 있는 ETF 상품은 총 220개로 ETF 시장 점유율 38.3%를 차지하고 있다. 

KODEX의 빠른 성장세는 특정군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투자 테마와 전략을 담은 상품들이 고르게 성장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시장 조정을 경계하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면서 국내채권형 상품과 파킹형 상품으로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특히 KODEX 미국 대표지수 2종의 순자산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KODEX ETF의 80조원 돌파 시점인 지난 6월 24일부터 KODEX 미국S&P500은 7천351억원, KODEX 미국나스닥100은 5천458억원 늘었다. KODEX 미국 S&P500은 상장 이후 4년 4개월여 만에 순자산 5조원을 돌파해 미국 대표지수 2종의 순자산은 8조원에 달한다.

증시 변동성을 헤지하려는 투자자들의 채권형 상품 매수도 두드러졌다. 6월 순자산 80조원 돌파 이후 KODEX 머니마켓액티브의 순자산은 1조6,090억원 증가했다. KODEX CD금리액티브(3,594억원 증가), KODEX CD1년금리플러스(1,754억원 증가) 등 파킹형 상품들도 인기다.

금리 인하 국면에 대비하는 수요에 힘입어 KODEX 26-12회사채(AA-이상)액티브(2천926억원 증가),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1,654억원 증가), KODEX 장기종합채권(AA-이상)액티브(1,452억원 증가)와 같은 일반 채권형 상품들로도 자금이 몰렸다.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도 1천641억원 증가했다. 삼성자산운용은 금리 인하 사이클에 대비해 지난달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를 선보이며 미국 국채 라인업을 완성했다.

월배당 커버드콜 상품의 성장세도 지속됐다. 증시 변동성 확대가 커버드콜 상품의 수요를 가속화하면서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4,379억원 증가),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1,498억원 증가) 등에도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렸다. 삼성자산운용의 커버드콜 ETF 순자산 규모는 약 4조4천억원으로 전체 커버드콜 시장에서 37.6%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테마형 상품도 성과를 거뒀다. 인공지능(AI) 전력 수요 증가 기대감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4천732억원 증가)와 KODEX AI전력핵심설비(2천349억원 증가)가 큰 폭으로 성장했다. KODEX 2차전지와 2차전지레버리지도 각각 2천289억원, 1천36억원 늘며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는 9.14%(최근 1년)의 높은 분배율에 힘입어 순자산이 1천249억원 증가했다.

7월 상장한 KODEX K방산TOP10(1천720억원 증가)과 지난달 상장한 KODEX 금융고배당TOP10(1천769억원 증가)은 단기간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박명제 삼성자산운용 ETF사업부문장은 "변동성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다양한 투자자를 위해 최적의 솔루션을 드릴 수 있는 상품개발에 노력한 결과 KODEX가 국내 최초로 순자산 90조원이란 결실을 맞았다”며 “단순 상품 상장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투자자들이 상품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가을의 전령사
한여름이 되면 그 동안의 강렬한 햇볕으로 대지가 충분히 달궈져 그 열기가 더 이상 땅으로 흡수되지 못
‘열대야(熱帶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