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성모병원, 혈액 한 방울로 간암 면역항암 치료효과 예측

진행성간암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치료법
김시영 의학전문기자 2025-09-24 11:57:29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한지원, 조희선,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좌측부터)
간암은 전 세계 암 사망 원인 3위를 차지한다. 간암 치료는 수술, 간아식, 고주파열치료 등 근치적 치료와 간동맥 화학색전술, 표적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나뉜다.

간암 중 혈관 침윤이나 전이가 있어 병기가 많이 진행된 상태를 말하는 진행성 간암도 최근 면역항암제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법 개발로 생존율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효과를 보이는 환자는 30% 정도로, 치료에 잘 반응할 환자군을 선별해 환자별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이 절실했다. 국내 연구진에 의해 진행성 간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새로운 혈액검사법이 소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소화기내과 한지원(교신저자), 조희선(공동1저자),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공동1저자) 교수 연구팀이 진행성 간암 환자에게 1차 치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AB) 병용요법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혈중 지표 ‘PBIS(Peripheral Blood Inflammatory Score)’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교수 연구팀은 예측력 검증을 위해 지난 2020년 5월부터 해당 치료를 받는 진행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의 다기관 전향적 연구를 수행했다.

서울성모병원에서 면역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116명과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외 지역인 인천성모병원에서 치료받은 환자 54명 등 170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PBIS는 주로 암과 싸우는 면역세포들의 활성 여부와 면역반응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하는 각각 다른 의미의 평가지표들로 구성됐다. 평가지표는 호중구-림프구 비율, C-반응성 단백질, 인터루킨-2, 인터루킨-12으로, 이 중 두 개 이상이 정상 기준치보다 높으면 '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PBIS 수치가 높은 그룹은 전체생존율, 병이 진행되지 않는 무진행 생존율, 치료의 객관적 반응률 예후가 유의하게 좋지 않았다. 

예측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 통계 분석 결과, PBIS 수치가 높은 그룹의 사망 위험은 3.6배, 진행 위험은 2.1배 높았다. 

간암 1차 표적치료제인 렌바티닙 치료군에서는 PBIS가 치료 반응을 예측하지 못해 PBIS가 특히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용 면역치료에서만 유효한 바이오마커임을 시사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한지원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진행성 간암 환자에서 비침습적 혈중 지표를 통해 면역항암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조희선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인터루킨-2, 인터루킨-12는 면역활성 및 억제 모두에 관여하는 인자로, 이번 연구는 이러한 사이토카인과 전통적 염증지표를 통합해 예측 정확도를 높인 것이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순규 인천성모병원 교수는 “진행성 간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효과는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환자 선별을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번 연구는 다기관 전향 연구를 통해 PBIS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한 연구로, 향후 보다 정밀한 맞춤치료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물사진첨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한지원, 조희선,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좌측부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일반적으로 온대지역에서 식물은 봄에 날씨가 따뜻해 땅이 풀릴 때 소생해, 여름에 작열하는 햇빛과 풍부…
원숙의 시절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
가을의 전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