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사라진 일자리...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 1999년 이후 최저

고용노동부,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보고서 발표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 0.40...1999년 7월(0.39) 이후 최저
고용 보험 건설업 가입자 수 75만 명...24개월째 내림세
조시현 2025-08-11 14:06:23
천경기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이 11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브리핑실에서 2025년 7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직자 1인당 일자리수가 1999년 이후 26년만에 가장 적었다.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를 이용한 7월 신규 구인 인원은 16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만4000명(16.9%) 감소했다.

고용24 신규 구직 인원은 지난달 41만1000명으로 2만1000명(5.5%) 늘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뜻하는 구인 배수는 0.40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 한명당 일자리 수가 0.4개에 불과할 정도로 일자리 구하기가 바늘구멍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지난해 동월(0.51)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1999년 7월(0.39) 이후 7월 기준 최저치다.

7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59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8만명(1.2%) 증가했다. 코로나 시기를 빼면 증가 폭은 2003년 7월(10만6000명) 이후 가장 낮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가 20만3000명 늘면서 견고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안정적인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과 건설업 가입자가 각각 5000명, 1만9000명 줄었다. 제조업은 생산 및 수출 부진 등 영향이고, 건설업은 업황 불황의 이유가 컸다.

제조업 가입자 수는 384만6000명으로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 화학제품 등에서 증가했으나, 금속가공, 섬유,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등은 줄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 가입 증가분을 제외하면 제조업 분야에서 2만4000명이 감소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의 89.8%가 제조업에 집중된 만큼, 제조업에서의 내국인 인력 이탈을 외국인이 채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그래프. 고용노동부 제공

건설업 가입자 수는 75만명으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24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가입자 수가 1085만4000명으로 보건복지를 중심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남성 가입자는 858만3000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3만8000명 늘었다. 여성 가입자는 701만7000명으로 14만1000명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7만5000명 증가)·50대(4만8000명 증가)·60세이상(18만명 증가)에서는 늘어난 반면, 29세 이하(9만명 감소)·40대(3만3000명)에서는 인구감소 영향 등으로 고용보험 가입자가 감소했다.

7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11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00명(0.6%) 줄었다. 구직급여 지급자는 67만3000명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2만1000명(3.2%)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1121억원으로 354억원(3.3%) 증가했다. 구직급여 지급자가 줄었는데 지급액이 늘어난 건 8~9개월 동안 구직급여를 받는 장기 지급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구인배수가 감소한 건 제조업 경기가 많이 부진한 게 원인”이라며 “제조업 분야에서 일자리 숫자가 줄고 있고, 제조업의 구인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천 과장은 “일자리 증가를 주도하는 서비스업 분야에서 민생회복 지원 등이 소매 판매에 영향을 미쳐 일자리 증가로 나타난다면, 제조업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구인배수가 소폭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ㅇ잏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강남의 풍속도 

강남의 풍속도 

‘밤비 내리는 영동교를 홀로 걷는 이 마음, 그 사람은 모를꺼야 모르실 거야, 비에 젖어 슬픔에 젖어 눈물에 젖어, 하염없이 걷고 있네 밤비 내리는
의료 개혁과 지대추구

의료 개혁과 지대추구

“왜 의대 정원 문제는 매번 이렇게 시끄러울까?”경제학자라면 아마 이렇게 답할 것이다. “그건 지대추구행위(rent-seeking) 때문이야.”최
비 갠 날의 오후, 서울

비 갠 날의 오후, 서울

며칠 사이 서울에도 큰비가 내렸다. 옛 같으면 큰비가 내리면 중랑천이 범람해 성수동과 상계동이 물에 잠기고, 곳곳이 물속에 첨벙이는 모습이 보일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