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KAI, 총괄 주관 개발 차세대 중형위성 3호 발사 성공

위성 수출 사업화 추진·원-스톱 우주센터 구축 방침
하재인 기자 2025-11-27 22:05:28
KAI가 총괄제작한 차세대 중형위성 3호.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7일 총괄 주관으로 개발한 차세대중형위성 3호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이날 오전 1시 13분 발사 후 오전 1시 55분에 지상기지국과 첫 교신을 하며 정상 작동을 확인했다.

해당 위성은 우주기술확보와 우주과학임무 수행을 목표로 KAI가 총괄 주관해 제작했다. 기존 1호기에서 개발한 표준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KAI가 독자적으로 국내 개발한 중형급 위성이다.

위성의 3개 탑재체는 한국천문연구원, 카이스트, 한림대학교의 3개 기관이 개발했다. 향후 3개 탑재체를 활용해 ▲지구 오로라 및 대기관 관측 ▲우주 플라즈마-자기장 측정을 통한 전리권 교란현상 관측 ▲ 바이오 3D 프린팅 기반 줄기세포 3차원 분화배양 검증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KAI 우주센터 차중위성 3호 제작현장. 한국항공우주산업

KAI는 차세대중형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확보한 중형위성 표준 플랫폼의 경쟁력과 국산화 기술을 활용해 위성 수출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체 주도의 저비용 다용도 중형급 위성 개발 능력을 바탕으로는 KAI의 항공기 수출과 연계한 남미, 중동, 동남아 지역 등 해외시장 수출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여기에 위성 개발에서는 해외수출을 목표로 전 부품 ITAR-FREE 부품 적용이 이뤄졌다. 유사 성능의 해외 위성 대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진계 3종의 국산화도 진행했다.

KAI는 이번 누리호 4차 발사에서 발사체 핵심부품인 1단 추진체 제작과 발사체 총조립도 수행했다. 지난해 7월에는 사천 본사 우주센터에 민간 최초로 4톤급 대형 열진공 챔버를 구축해 소형부터 대형 위성까지 동시 시험 체계기반을 마련했다. 향후에는 전자파 시험 시설을 추가 확보해 설계부터 제작 및 환경시험에 이르는 위성 개발 전체 프로세스를 한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원-스톱 우주센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장은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발사 성공은 국내 민간 주도 우주 산업화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KAI는 대한민국 대표 우주전문 기업으로 첨단위성과 재사용발사체 사업까지 서비스를 확대해 대한민국의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 실현을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일반적으로 온대지역에서 식물은 봄에 날씨가 따뜻해 땅이 풀릴 때 소생해, 여름에 작열하는 햇빛과 풍부…
원숙의 시절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
가을의 전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