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美 경제지표 불확실성 속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뉴욕 3대 지수 급락

다우존스30 4만7457.22-1.65%), S&P500 6737.49(-1.66%), 나스닥 2만2870.36(-2.29%)
서부텍사스산원유(WTI) 배럴당 58.69달러(+0.34%), 브렌트유 배럴당 63.01달러(+0.47%)
조시현 기자 2025-11-19 17:40:26
▲뉴욕 거래소의 트레이더. 연합뉴스/뉴욕 AFP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일시 업무 지연) 해제로 지연됐던 주요 경제지표가 불확실성으로 남아 있고,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이 나오며 금리인하 기대감이 약해지면서 뉴욕 주식시장 3대 지수가 급락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97.60포인트(1.65%) 하락한 4만7457.22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보다 113.43포인트(1.66%) 떨어진 6737.49, 나스닥종합지수는 536.10포인트(2.29%) 급락한 2만2870.36에 장을 마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간밤 임시 예산안에 서명하면서 셧다운은 역대 최장인 43일을 끝으로 해제됐다. 셧다운이 종료된 만큼 그간 발표가 지연됐던 주요 경기지표가 다음 주부터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투매는 셧다운 재료의 소멸과 다음 재료에 대한 경계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48.1%로 반영했다. 장 중 50%를 웃도는 등 금리인하를 낙관하는 분위기와 멀어졌다.

셧다운 기간에 쌓였던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한꺼번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매파 성향으로 분류되는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현재로서는 노동시장이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 확률이 높다고 보지 않는다”며 “이 시점에서 통화정책이 고용시장에 대해 추가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우리는 매우 조심스럽게 나아가야 한다”며 “통화정책이 지나치게 완화적이지 않으면서 추가 완화를 할 수 있는 여지는 제한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도 “인플레이션은 약 3% 수준으로 여전히 너무 높다”고 강조했다.

AI 거품론은 이제 장기 테마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날 투매 흐름 속에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필리 지수)는 3.72% 폭락했다.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가 3.58% 하락했고 브로드컴과 AMD, 인텔, Arm, 램리서치도 5% 안팎의 낙폭을 기록했다. 필리 지수를 구성한 30개 종목 모두 하락했다.

AI 밸류에이션에 대한 회의론은 오라클의 주가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지난 9월 오픈AI와의 초대형 계약으로 하루 만에 36% 폭등하며 345달러까지 뛰었던 오라클 주가는 이날도 4.15% 하락하며 217.57달러까지 내려앉았다. 오픈AI와의 계약이 상당 부분 아직 매출로 잡히지도 않았고 대규모 부채로 설비 투자한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오라클의 주가는 폭등 전 레벨보다 더 낮아졌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기술과 임의소비재가 2% 이상 밀렸고 산업과 금융, 통신서비스, 유틸리티, 부동산도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시총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메타를 제외하고 모두 내려앉았다. 테슬라는 6.64% 하락했고 알파벳과 아마존도 2%대 하락률을 찍었다.

최근 기술주와 달리 견고하게 올랐던 우량주도 이날은 약세였다.

엔터테인먼트 제국 월트디즈니는 3분기에 엇갈린 실적 방향성을 드러내면서 주가가 7.75% 떨어졌다.

골드만삭스가 3.99%, JP모건체이스가 3.41% 내리는 등 금융주도 우량주 위주의 다우 지수를 끌어 내리는 요인이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2.49포인트(14.22%) 뛴 20.00을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전날 급락에 따른 매수세 유입에 반등했다. 다만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소식이 상승 폭을 제한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물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20달러(0.34%) 오른 배럴당 58.6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 기준물인 1월물 브렌트유는 전장보다 0.30달러(0.48%) 상승한 배럴당 63.01달러를 기록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일반적으로 온대지역에서 식물은 봄에 날씨가 따뜻해 땅이 풀릴 때 소생해, 여름에 작열하는 햇빛과 풍부…
원숙의 시절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
가을의 전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