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직장인 급여 1위 울산 4천736만원…제주 3년 연속 꼴찌

제주와 격차 1천200만 원
서울, 2년간 500만원 늘어
양경숙 “양질 일자리 창출해야”
이승욱 기자 2024-01-20 09:53:16
/양경숙의원실

17곳 시·도 가운데 직장인의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는 17곳 시·도 중 가장 급여가 낮았으며 1위 울산과의 격차는 1천200만원에 달했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 의무자 소재 기준)’에 따르면 2022년 울산에 있는 근로자의 1인당 총급여액은 평균 4천736만원이었다. 

이는 17곳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대기업이 입주한 울산은 2021년(4천501만원)에 이어 2년 연속 평균 급여가 가장 높았다. 

반면 제주는 1인당 급여가 평균 3천57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제주는 2020년(3천288만원), 2021년(3천418만원)에도 급여가 가장 낮은 지역이었다. 

울산과 제주의 급여 격차는 1천166만원이었으나 2021년(1천84만원)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서울이 4천683만원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서울은 2년 전과 비교해 급여가 511만원(12.3%) 늘어 증가 폭이 17곳 시·도 가운데 가장 컸다. 

서울에 이어 공무원이 많이 거주하는 세종(4천492만원), 경기(4천281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평균 급여가 4천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시도는 제주를 포함해 강원(3천577만원), 대구(3천580만원), 전북(3천586만원), 부산(3천639만원), 광주(3천667만원), 충북(3천829만원) 등 10곳 지역이었다. 

총급여액은 연간 근로소득에서 식대 등 비과세소득을 차감한 값이다. 연말정산과 각종 공제의 기준이 된다. 

양경숙 의원은 “지역 간 소득격차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별 성장동력 마련과 기업 유치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