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고금리에 이자로 낸 돈, 월세 앞질러

지난해 월 이자 13만원, 32% 급증
월세 포함 주거비 11만 1300원
2015년 이후 9년만에 월세 추월
권태욱 기자 2024-04-04 09:32:53
서울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오피스텔 월세 정보가 붙어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가구가 부담한 이자비용이 큰 폭으로 늘면서 월세 지출을 9년 만에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조로 인해 이자비용이 더 많이 늘어난 것이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전국·1인이상) 월평균 이자비용은 13만원으로 전년(9만8천700원)보다 3만1천300원(31.7%) 늘었다. 

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이자비용이 크게 늘면서 가구가 지출한 월세 등 실제 주거비(11만1천300원)를 9년 만에 추월했다. 

가계동향조사의 ‘실제 주거비’는 월세처럼 가구가 거주를 위해 실제 지출한 비용이다. 월세를 내지 않는 자가가구나 전세가구는 실제 주거비가 ‘0원’으로 집계된다. 

2014년까지 가구 이자비용은 실제 주거비보다 많았지만 2015년 부동산 시장 과열이 시작되면서 주거비 지출은 이자를 넘어서게 됐다. 

실제 주거비 지출은 지난해에도 큰 폭으로 늘었지만, 기록적인 고금리 장기화 기조로 늘어난 이자비용에는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실제 주거비는 전년보다 8천900원(8.6%) 늘면서 2019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전세 사기 피해 증가, 고금리 영향으로 월세 전환 가구가 많이 늘어난 결과다. 

큰 폭으로 늘어난 주거비·이자비용은 가계 여윳돈을 줄이는 원인 중 하나가 됐다. 

특히 임차 가구의 여윳돈이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월세가구의 흑자율(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은 20.0%로 2019년 1분기(17.3%) 이후 4년여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