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교통공사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서 미래 지하철 기술 선봬

‘AI 스테이션’ 주제로 약자와 동행하는 전시관 구성
권태욱 기자 2025-09-30 17:58:21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에 마련된 서울교통공사 전시관 조감도.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10월 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라이프위크 2025(Smart Life Week 2025, SLW)에서 미래 지하철의 모습을 담은 전시관을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 

스마트라이프위크(SLW)는 서울시가 올해로 2회째 개최하는 ICT 박람회로 ‘사람을 위한 인공지능(AI), 미래를 여는 스마트시티’라는 슬로건으로 스마트 기술 관련 최신 기술과 서비스를 소개한다. 국내외 300곳 이상의 기업·기관이 참여해 시민들이 미래 도시 생활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전시관은 ‘AI 스테이션’이라는 주제로 △약자와 동행하는 AI △미래 지하철 △펀 스테이션이라는 세부 주제로 구성됐다. 공사는 이번 전시에서 약자와 동행하는 혁신적인 기술과 지하철의 미래 비전뿐만 아니라 교통수단을 넘어 문화·생활공간으로서 모습을 제시했다. 

특히 지하철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과 같은 디자인에 실제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안전문을 더해 시민들이 실제 열차 안에 들어온 듯한 공간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먼저 이번 전시를 통해 저상형·버튼키 패드 등 교통약자의 편의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와 더불어 청각약자들이 열차 안에서 명확하게 안내방송을 들을 수 있도록 돕는 ‘히어링루프’ 등 교통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지하철의 다양한 기술을 엿볼 수 있다. 

이어 서울 지하철의 미래 모습으로는 지하철 역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스테이션’, 혼잡상황을 실시간으로 식별·분석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AI 실시간 혼잡관리 시스템’을 선보인다. 

이외에도 시민들이 미래 지하철의 청사진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XR 기반 차량정비’와 ‘전동차 모의운전체험’을 준비했다. ‘펀 스테이션’에서는 지하철의 친환경 가치를 알리는 ‘에코 스테이션’, 지하철을 이용하며 마주치는 10개 상황에 대한 문답과 MBTI 특성에 어울리는 지하철역을 추천하는 ‘MBTI 스테이션’ 등 다양한 체험 요소도 마련했다.  

특히 ‘파크골프’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은 교통수단을 넘어 생활·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지하철의 미래를 보여준다. 

나인호 서울교통공사 홍보실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 지하철이 AI와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시민의 삶을 어떻게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직접 체험할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공사는 AI를 비롯한 혁신 기술을 통해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지하철 이용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일반적으로 온대지역에서 식물은 봄에 날씨가 따뜻해 땅이 풀릴 때 소생해, 여름에 작열하는 햇빛과 풍부…
원숙의 시절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
가을의 전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