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뉴스] 500대기업 ESG위원회 설치 절반 미달…회의는 분기 1회 이하
2024-02-07

오는 2025년 국내 ESG 공시 도입을 앞두고 공시 기준 마련에 대한 합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전신 전국경제인연합)는 19일 제7차 K-ESG 얼라이언스(의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회의를 개최하고,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국제논의 및 국내 동향에 대해 살폈다.
이날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EU 등 선진국과 국제사회에서 ESG 정보 공시 기준의 최종안이 발표되며, ESG 공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고 말했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는 지난 6월 ‘지속가능성 및 기후공시의 글로벌 표준 최종안’을 발표했고, EU 집행위원회는 7월 EU의 독자적인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인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의 최종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연내 기후 공시 규칙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오는 2025년부터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이에 금융위원회와 회계기준원은 ESG 공시제도 로드맵을 마련 중이다.
김 의장은 “우리나라도 ESG 공시 의무화가 추진되면 우리 기업들이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 걸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공시 기준 마련에 있어 무엇보다 기업과 현장의 목소리가 많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한상 한국회계기준원 원장 겸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위원장은 ESG 공시에 대한 주요국들과 ISSB의 움직임을 전했다.
이 원장은 “ESG 의무 공시가 유럽‧미국 시작으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곳에 상장법인이 있는 한국 기업들은 ESG 공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가능성 공시는 기업이 납득할 만한 기준과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는 “ESG 공시 기준이 연결기준이다 보니 해외 사업장이 많은 기업들은 현실적으로 2025년부터 공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며 ESG 의무공시 시행에 앞서 공시 기준에 대한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재계 관계자는 “공시 로드맵이나 지침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2025년 공시를 하려면 당장 내년부터 정보들을 집계해야 하는데, 합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어떤 정보를 어디까지 수집해서 공시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한경협 측은 “공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고,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