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표준주택 공시가격 0.57% 상승…역대 최저 변동률
2023-12-20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땅이 21년째 최고 땅값을 기록했다.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중구 충무로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당 공시지가가 1억7540만원으로 전국 표준지 중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억7410만원에 비해서는 0.7%(130만원) 오른 것이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가 169.3㎡인 점을 감안하면 부지 땅값이 약 297억원에 달한다. 3.3㎡(1평) 기준으로 환산하면 5억7882만원인 셈이다.
네이처리퍼블릭 외에도 명동 일대 땅이 전국 땅값 상위 8위까지 모두 휩쓸었다. 2위는 중구 명동2가 우리은행 명동지점(392.4㎡)으로 ㎡당 공시지가가 1억7400만원이었다.
3위인 중구 충무로2가의 옛 유니클로 부지(300.1㎡) 공시지가는 1억6530만원으로 집계됐다.
명동 일대 부지 외에는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업무용 건물 부지와 강남구 역삼동 업무용 건물 부지가 각각 ㎡당 공시지가 1억1930만원, 1억1910만원으로 9위, 10위를 차지했다.

표준 단독주택 중에서는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2016년 이후 9년 연속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이 회장 자택의 공시가격은 285억7000만원으로 올해(280억300만원)에 비해 1.9% 오를 전망이다.
이 회장의 단독주택은 연면적 2861.8㎡ 규모로, 2016년 표준 단독주택으로 편입된 이후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연면적 2617.4㎡)으로 내년 공시가격이 186억5000만원이다. 올해보다 2.5% 상승했다.
3위는 삼성그룹 호암재단이 용산구 이태원동에 보유한 삼성그룹의 영빈관인 승지원(연면적 609.6㎡)이다. 내년 공시가격은 171억7000만원으로 올해보다 2.2% 올랐다.
4위에 오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이 보유한 용산구 이태원동 주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167억5000만원으로 3.0% 상승했다.
공시가격 상위 단독주택 10곳의 순위는 1년 새 변동이 없었다. 10곳 중 7곳이 용산구에 있고 나머지는 강남구 삼성동 2곳, 서초구 방배동 1곳이다.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이날부터 소유자 의견청취 절차에 들어간다. 앞으로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1월25일 결정·공시될 예정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