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자산매각 불구 또 터진 워크아웃설…“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어”
2023-12-27

시공순위 16위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으로 건설업계뿐만 아니라 금융업 등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시장안정조치로 조성한 85조원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을 29일 밝혔다.
최 부총리는 또 태영그룹 차원의 강도 높은 자구 노력을 전제로 한 엄정한 구조조정 원칙과 경영정상화 방안을 강조하기도 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필요하다면 시장안정조치를 충분한 수준으로 즉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가 확산하자 시장안정조치를 위한 재원 수준을 ‘50조원+α’ 수준으로 가동했고,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및 건설사 재정 위기가 커지자 순차적으로 85조원 규모로 확대해왔다.
이날 최 부총리의 발언은 그동안 시장안정조치를 확대했지만 태영건설 발(發)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추가 확대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그는 “필요 시 시장안전조치를 추가 확대해 시장변동성의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 차원에서도 필요하다면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유동성 지원을 뒷받침하는 한편, 금융회사의 손실흡수능력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최 부총리는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대출 시 부담하는 위험)가 금융권 총자산의 0.09% 수준이고 다수 금융회사에 분산돼 있어 건전성에 대한 영향을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금융권 스스로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불안정한 부동산 PF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사업장별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에 유동성을 시의적절하게 공급하며 대주단 협약 등을 통해 사업장 재구조화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태영건설과 도급 관계에 있는 하도급 업체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이 채무를 1년간 상환유예하거나 금리를 감면해주는 혜택을 주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과도하고 불필요한 시장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장 참여자 여러분의 협조를 당부한다”면서 태영건설과 관련해서는 “태영그룹의 강도 높은 자구 노력을 전제로 엄정한 구조조정 원칙을 견지하며 태영건설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