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벤츠 몰며 공공임대주택 거주, 이제는 안 돼”… ‘가짜 서민’ 입주 막는다

개정 ‘공공주택 업무처리 지침’ 시행
재계약 때 자동차 가액 심사키로
권태욱 기자 2024-01-08 10:24:50
한 LH 국민 임대주택 버젓이 주차된 고가의 차량들.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캡쳐

페라리·벤츠 등 고가 외제차를 모는 ‘가짜 서민’들이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할 수 없게 됐다. 

임대주택이 정말 필요한 사람들의 기회를 빼앗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일부로 개정 ‘공공주택 업무처리 지침’이 시행됐다. 

그동안은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입주 이후 소득·자산 요건을 초과하더라도 재계약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개정 규정에 따라 소득·자산 초과 때 재계약은 1회로 제한된다. 

가능한 자산 초과 기준에서 자동차 가액은 제외됐다. 입주 후 고가의 수입차를 산 뒤 계속해서 임대주택에 사는 경우가 생겼기 때문이다. 

공공임대의 입주자 선정 기준(2023년 기준)은 △무주택 가구 △총자산 2억5천500만원(영구)·3억6천100만원(국민) △자동차 가액 3천683만원 이하다. 

이제부터는 재계약을 하고 싶다면 소득과 자산 기준은 넘겨도 되지만, 자동차 가액은 기준액을 남겨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자동차 가액이 9천794만원인 BMW(모델 iX xDrive 50)와 벤츠, 페라리, 마세라티 등을 보유한 임대주택 입주민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바뀐 규정은 이달 5일 이후 입주자 모집공고를 하는 공공임대주택부터 적용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