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 직장인 상위 0.1% 근로소득, 강원과 3배 격차

서울 상위 0.1% 평균연봉 14억원 수준
지역 내 소득격차도 서울이 가장 높아
이승욱 기자 2024-01-27 10:37:43

근로소득자 소득 금액의 시도별 편차가 최대 3배까지 나는 것으로 집계뙜다. 서울 상위 0.1% 직장인 평균 연봉은 14억원이나 강원의 평균 연봉은 4억6천만원 수준에 불과했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서울 근로소득자 상위 0.1%에 드는 직장인은 6천213명이다. 이들의 총급여(식대 등 비과세소득 차감)는 평균 13억8천817만원이었다. 

서울의 상위 0.1% 직장인의 평균 연봉이 가장 많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어 제주 10억605만원(216명), 경기 9억4천952만원(4천832명) 순이다. 

상위 0.1% 총급여가 가장 적은 시도는 강원으로 4억6천268만원(463명)으로 1위 서울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전국 기준 상위 0.1% 총급여 평균액은 9억8천798만으로 집계됐다. 

소득 격차는 지역 내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전국 중 소득 격차가 가장 심한 시도는 서울이었다. 서울의 상위 20% 연봉은 평균 1억1천995만원으로 하위 20%인 667만원과 비교하면 18배 차이를 보였다. 

같은 방식으로 비교하면 부산 15.5배, 경기 14.6배로 지역 내 격차를 보였다. 반대로 소득격차가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으로 9.6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양경숙 의원은 “시도별 소득격차가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양극화도 심각하다”며 “소득 불평등 해결을 위해 지역별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