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SK하이닉스, 1Q 영업이익 2조8천860억…“어닝 서프라이즈”

작년 동기 대비 144% 영업이익 증가…컨센서스 웃돌아
업황 개선에 영향…HBM 등 고부가 반도체 판매량 증가
이승욱 기자 2024-04-25 15:00:33
SK하이닉스 전경 /연합뉴스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깜짝 실적’을 기록하는 실적으로 냈다. 침체를 거듭하던 반도체 업황이 기지개를 펴고 AI(인공지능) 열풍으로 인한 고대역폭 메모리 판매 증가에 낸드플래시 시황 회복세가 힘을 더해 얻은 결과로 분석된다. 

25일 SK하이닉스는 실적발표회를 열어 지난 1분기 매출은 12조4천296억원으로 역대 1분기 실적 중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 영업이익 2조8천860억원, 순이익 1조9천710억원으로 집계됐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22년 4분기 1조8천984억원 영업적자를 기록한 이래 연속 4분기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3천460억원 흑자를 기록하며 반등 모멘텀을 찾는 듯 보였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 2조8천860억원은 지난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또 이는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 –3조4천23억원과 비교하면 144%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이러한 SK하이닉스의 실적은 컨센서스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금융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가 증권사 전망치를 토대로 분석한 SK하이닉스의 1분기 매출 추정치는 12조1천575억원, 영업이익 추정치는 1조8천551억원이다. 

SK하이닉스의 실적 반등은 주력 제품인 DDR5와 고대역폭메모리 HBM3 등 판매량 신장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해당 제품들은 서버나 PC 등에 주로 적용되며 AI 열풍 속 수혜 제품으로 꼽힌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은 “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를 중심으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반등세가 본격화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최고 성능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고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로 나아가 실적을 계속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