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 7개월만 최대…‘주담대’가 견인
2024-06-12

하반기 금리가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려 부동산·주식을 사들이는 차입(레버리지) 투자 열풍이 약 3년 만에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달 들어 단 나흘 만에 2조원 넘게 늘었고, 국내외 주식 투자를 위해 은행에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을 열거나 증권사로부터 신용융자를 받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10조7천55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708조5천723억원)과 비교해 4영업일 만에 2조1천835억원이나 늘었다.
이미 5대 은행 가계대출은 6월 한 달 새 5조3천415억원 크게 늘면서 2021년 7월(6조2천억원)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으며 아직 월초지만 증가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는 분위기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최근 주택 거래 회복과 함께 수요가 커진 주택담보대출이 552조1천526억원에서 552조9천913억원으로 8천387억원 불었다.
특히 지난달(102조9천924억원→102조7천781억원) 2천143억원 뒷걸음친 신용대출조차 이달(102조7천781억원→103조8천660억원)에는 나흘 만에 1조879억원 증가했다.
은행권은 구체적 가계대출 증가 배경으로 부동산 경기 회복, 공모주를 비롯한 국내외 주식 투자 자금 수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9월), 정책자금 대출 증가, 금리 인하 등을 꼽고 있다.
먼저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면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수요가 몰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20% 올라 2021년 9월 셋째 주(0.20%) 이후 약 2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여기에 주식 ‘빚투(대출로 투자)’ 수요까지 살아나고 있다.
5대 은행에서 신용대출이 나흘 만에 1조원 넘게 불어난 데는 지난 2∼3일 진행된 게임업체 ‘시프트업’의 일반투자자 대상 상장 공모 청약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모주 청약에 18조5천억원 이상의 증거금이 몰렸는데, 청약 신청자의 상당수가 은행 신용대출로 자금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있다.
공모주뿐 아니라 최근 국내외 증시 활황도 빚투를 자극하고 있다. 코스피는 5일 2862.23으로 2022년 1월 18일(2천902.79) 이후 2년 5개월여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미국 뉴욕증시에서도 5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5,567.19)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8,352.76) 모두 사상 최고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여기에 은행 관리 범위를 벗어난 정책대출의 급증 문제와 가계대출 관련 정책의 일관성 부족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주택 관련 대출 증가에서 버팀목(전세)이나 디딤돌(주택구입) 등 정책자금 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며 “이들은 정부가 실수요자들을 위해 출시한 상품이고 은행은 단순히 판매할 뿐으로, 개별 은행이 판매를 제한하거나 대출 대상자 요건을 강화하기 어렵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아울러 “저출생 위기 극복 차원에서 정부가 신생아 특례대출 조건을 완화하면서 정책자금을 이용할 수 있는 대상자가 늘어난 것도 가계부채 증가의 한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면서 동시에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을 두 달 연기한 정부 조치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한 은행 관계자는 “최근 2단계 스트레스 DSR의 2개월 연기가 가계대출 증가 추세를 유지 또는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한쪽은 (가계대출을) 줄이려고 애쓰지만 다른 쪽은 반대로 비치는 만큼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