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추석 제수비용 33만4천828원…추석 다가오니 참조기 29%↑”

소비자단체협의회 1·2차 조사 비교…"전통시장이 가장 저렴"
연합뉴스 2024-09-13 15:44:01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자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일주일 전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3만4천828원으로 추석 3주 전 조사 때보다 1.8% 올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7∼28일에 했던 1차 조사에 이어 지난 10∼11일 진행한 2차 조사로 서울 25개 자치구 내 전통시장과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일반 슈퍼마켓 등 90곳의 추석 제사용품 24개 품목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추석 3주 전보다 가격이 오른 품목은 11개였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참조기로 8천17원에서 1만368원으로 29.3% 올랐다.

시금치 16.6%, 송편 21.1%, 유과 6.7%, 사과 6.2% 등의 순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3주 전에 비해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13개로 밤(-16.6%), 명태살(-8.5%), 배(-8.4%) 순으로 하락률이 높았다.

밤은 추석 3주 전 조사에서 1만3천470원이었지만 추석 1주 전 조사에서는 1만1천229원으로 16.6% 하락했다.

식품군별로 보면 수산물은 참조기의 영향으로 5.6% 상승했지만, 명태살과 황태포는 각각 8.5%, 3.1% 하락했다.

축산물은 2.5% 상승했다. 돼지고기(수육용·목삼겹)는 5.1%, 쇠고기(산적용·일반육)는 4.0% 각각 올랐다.

과일은 0.6% 올랐다. 사과와 곶감이 각각 6.2%, 3.5% 오르고 배는 8.4% 하락했다.

유통업태별 제사용품 구입비는 전통시장이 평균 22만3천213원으로 추석 3주 전과 마찬가지로 가장 저렴했고 백화점이 43만2천836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체 평균은 28만6천502원이다.

품목별로도 가격이 차이가 났다. 전통시장은 축산물, 수산물, 채소·임산물이 평균보다 각각 27.3%, 17.9%, 32.1% 저렴했다.

가공식품(밀가루, 청주)은 대형마트가, 기타식품(약과, 유과)은 일반슈퍼마켓이 각각 더 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유통업체별로 할인과 정부의 지원 행사가 다르므로 이런 정보를 활용하면 합리적 구매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eran@yn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