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빚에 허덕이는 40대…“부채가 소득의 2.5배”

50대 제외한 전 연령대서 LTI 증가
차규근 의원 “자산가격 안정 해법 찾아야”
연합뉴스 2024-09-18 14:38:51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 연합뉴스

우리 국민은 평균적으로 연간 소득의 두 배가 넘는 막대한 규모의 대출 잔액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계소득 대비 부채 비율(LTI)은 233.9%로 집계됐다. 

전체 LTI는 2022년 2분기 238.0%를 단기 고점으로, 그해 3분기 237.0%, 4분기 236.6% 등으로 차츰 낮아졌다. 

지난해에도 1분기 235.6%, 2분기 234.2%, 3분기 234.0%, 4분기 233.9%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왔으나, 올해 1분기 들어 전 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은행

연령대별로 보면 올해 1분기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LTI가 전 분기 대비 상승했다. 

30대 이하 LTI는 지난해 4분기 238.7%에서 올해 1분기 239.0%로 높아졌고, 40대는 253.5%에서 253.7%, 60대 이상은 239.1%에서 240.8%로 각각 올랐다. 

50대는 208.1%에서 205.6%로 하락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 중 40대는 대출 잔액 합계가 연간 소득의 2.5배를 돌파해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부채 비율을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이는 ‘영끌’ 주택 매수의 결과라는 게 차 의원의 분석이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의 평균 부채는 1억2천531만원으로, 그중 주택담보대출이 7천267만원(57.9%)에 달했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에서 40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년 말보다 8조1천억원이나 증가했다. 

차 의원은 “내수의 주축이 돼야 할 40대가 빚의 늪에 빠졌다”며 “최근 5년 내 LTI가 최고 수준으로, 코로나19 당시 상황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LTI 증가세는 집값 상승과 주택담보대출 증가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가 자산 가격 안정을 위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