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이효성의 자연에세이]<18> 조락, 소멸과 소생의 과정

조락한 가랑잎들 밟히고 바스러져
바람에 휩쓸리다 종당엔 보이잖네
나무를 소생시키려는 나뭇잎의 몸 공양
한양경제 2024-11-17 08:10:03
늦가을 낙엽이 수북이 쌓여있다. 이효성 

늦가을이 되면 온대지역의 활엽수는 겨울을 대비하여 잎자루 끝에 떨켜를 만든다. 그러면 나뭇잎은 나무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여 광합성을 행하던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녹색이 사라지고 그에 가려져 있던 다른 보조 색소들이 나타나거나 새로운 색소들이 만들어져 단풍이 든다. 이와 함께 건조한 날씨에 잎들이 바짝 말라 가랑잎이 된다. 그때 잎들은 미풍만 불어도 우수수 져 낙엽으로 땅 위에 쌓이게 된다. 이것이 늦가을의 활엽수의 잎들에 일어나는 조락(凋落)이라는 운명이다.

낙엽이 된 가랑잎들은 길가나 빈터에 수북이 쌓여 행인들에 밟혀 바스락거리며 부스러지거나 찬바람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다가 종당에는 자취를 감춘다. 그런 모습은 사람들로 하여금 우수와 비애를 일으킨다. 초봄에는 황금빛으로 빛났고, 한봄에는 연초록으로 싱그러웠고, 여름에는 진초록으로 무성했고, 늦가을에는 형형색색으로 화려했으나, 이제 그 모든 영광의 시절은 가고 잎들은 결국 볼품없는 가랑잎이 되어 밟히거나 바람에 날려 다니다가 사라진다. 이런 모습에서 사람들은 자신들을 포함하여 아무리 젊고 싱싱하고 화려했던 것일지라도 결국은 모두 조만간 늙고 볼품없이 되어 소멸(消滅)하고 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늦가을 활엽수의 나뭇잎에 일어나는 조락은 자연스레 사람들에게 소멸, 상실, 죽음, 사라짐, 헤어짐과 같은 인식과 정조를 일으킨다. 그래서 나뭇잎들의 조락이나 낙엽은 소멸과 죽음에 대한 은유나 상징이 된다. 그런데 생명체의 소멸이나 죽음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본원적으로 슬픈 일이기도 하다.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땅 위에서 바스락거리거나 바람에 이리저리 나뒹구는 낙엽은 소멸이나 죽음을 상기시키고 그것을 보는 이들에게 우수와 비애의 감정을 자아내는 것이다. 이것이 이 무렵, 냇 킹 코울이나 이브 몽땅의 ‘고엽(枯葉)’이라는 노래가 심금을 울리는 이유다.

물론 가을에 우수와 비애의 감정을 일으키는 것이 낙엽만은 아니다. 가을은 점점 약해지는 햇빛, 점점 짧아지는 낮의 길이, 북녘의 찬바람이 몰고 오는 숙살지기(肅殺之氣), 처량한 풀벌레 소리, 추수 뒤의 공허, 바람에 쓸쓸히 흔들리는 억새와 갈대 등으로 대표되는 그 특유의 날씨와 물상으로도 사람들에게 비애와 우수의 감정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들이 일으키는 우수와 비애의 감정에는 까닭이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나뭇잎의 조락과 나뒹구는 낙엽이 사람들에게 일으키는 우수와 비애의 감정은 낙엽이 소멸이나 죽음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그 소멸하는 과정을 우리가 지켜봐왔다는 점에서 그 까닭이 분명하다.

낙엽은 또 우리에게 때가 되면 생에 대한 애착을 버리고 미련 없이 이승을 떠나야 한다는 교훈을 주기도 한다. 나뭇잎은 가을이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조락하여 낙엽으로 쌓였다가 사라진다. 우리 또한 언젠가는 이승을 떠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승과의 하직은 언젠가는 있게 될 일이며 그때가 닥치면 슬프나 자연스런 일로 받아들이고 기꺼이 따라야 함을 낙엽은 우리에게 매해 시연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묻지도 않았는데/몸으로 대답하네//때가 되면/무성했던 시절도 덧없더라고”[목필균, 〈낙엽〉 중에서]

우리는 그 무언의 시범에서 가르침을 얻는다.

더 나아가, 나뭇잎의 조락이나 낙엽은 소멸이 아닌 새로운 탄생으로 이어지는 순환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낙엽은 결국 썩어 흙에 섞이어 나무의 양분으로 흡수됨으로써 새로운 잎으로 탄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낙엽귀근(落葉歸根, 낙엽은 뿌리로 돌아간다)이라는 말이 생겼을 것이다. 이는 생명은 순환한다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낡은 잎은 소멸하되 새로운 잎으로 다시 태어나기 때문이다. 또는 어린 자식은 나이 먹은 부모에게서 태어나듯, 새로운 생명은 낡은 생명에서 태어난다는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낙엽은 소멸만의 상징이 아니라 역설적이게도 새로운 탄생의 상징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양하가 번역한 〈페이터의 산문〉에는 이런 표현이 있다.

“가을바람이 땅에 낡은 잎을 뿌리면, 봄은 다시 새로운 잎으로 숲을 덮는다.”

아쉽고 슬픈 일이지만, 우리 자신을 포함하여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언젠가는 스러지고 소멸한다. 낙엽은 해마다 우리에게 그 사실을 일깨우며 우리를 우수와 비애에 빠지게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 낙엽은 우리의 소멸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고, 심지어는 소멸은 새로운 탄생임도 일깨워준다. 조락과 낙엽은 한편으로는 살아 있는 것은 소멸한다는 사실을 몸소 시연하지만, 다른 한편 소멸에서 소생(蘇生)이 비롯됨을 일깨우는 변증법적 존재이기도 하다. 오, 찬바람에 졌다가 이리저리 뒹굴다 사라지는 가랑잎이여, 너는 소멸하지만 그로써 이듬해 따뜻한 봄바람에 새 잎이 싹을 틔워 나무를 소생시키기에 너로 인해 생명의 순환이 이루어지누나!

이효성 전 성균관대 언론학과 교수·전 방송통신위원장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