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 경험 직장인들 “시차출퇴근·선택근무 더 생산적” 시차출퇴근이나 선택근무제 등과 같은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본 직장인들의 다수는 일반적인 근무형태 때보다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22년도 한국 가구와 개인의 경제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 이승욱 기자 2024-01-28 10:43:11
“청년 행복도 가장 높은 시간은 주 15∼40시간” 청년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행복도가 가장 높은 그룹은 주 15∼40시간 일하는 청년들이었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 ‘노동정책연구’에 따르면 박주 이승욱 기자 2024-01-01 09: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