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청년 행복도 가장 높은 시간은 주 15∼40시간”

노동硏 ‘노동정책연구’ 논문…“노동시간 길수록 행복도에 부정적”
이승욱 기자 2024-01-01 09:17:09
/한국노동연구원

청년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행복도가 가장 높은 그룹은 주 15∼40시간 일하는 청년들이었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 ‘노동정책연구’에 따르면 박주상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청년 임금노동자의 노동시간과 행복’ 논문에서 대졸 청년들의 노동시간이 행복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박 연구위원은 2022년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해 34세 이하 대졸 청년 임금 노동자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을 주당 노동시간에 따라 △15시간 미만 △15∼40시간 △41∼52시간 △52시간 초과 네 그룹으로 나눈 후 구간별로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감 정도를 살펴봤다. 

먼저 직무만족도를 보면 ‘매우 불만족’ 또는 ‘불만족’이라고 말한 청년들의 비율이 15시간 미만과 15∼40시간에선 각각 7.4%였고, 41∼52시간이 13.9%, 52시간 초과는 17.0%였다. 

‘매우 만족’ 또는 ‘만족’이라고 답한 비율은 15∼40시간에서 59.4%로 가장 많고, 15시간 미만 52.3%, 41∼52시간 50.4%, 52시간 초과는 45.4%였다. 

근무시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떨어진 것이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 가장 낮은 1∼2점을 매긴 응답자가 15시간 미만 6.4%, 15∼40시간 4.4%, 41∼52시간 5.2%, 52시간 초과 5.9%였고, 가장 높은 6∼7점을 매긴 응답자 비율은 노동시간 구간별로 각각 33.6%, 43.9%, 37.9%, 34.7%였다. 

대체로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자와 52시간 초과 장시간 노동자의 삶 만족도가 낮고, 15시간 이상이면서 법정 근로시간인 주 40시간 이하로 근무하는 청년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개인 행복도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행복도를 ‘전혀 느끼지 않았다’에 해당하는 1∼2점을 매긴 응답자의 비율이 15시간 미만 6.6%, 15∼40시간 4.3%, 41∼52시간 5.0%, 52시간 초과 8.5%였다. 

‘항상 느꼈다’에 해당하는 6∼7점 응답은 15시간 미만 26.7%, 15∼40시간 36.5%, 41∼52시간 31.3%, 52시간 초과 30.5%였다. 

초단시간 근무자, 장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낮고 15∼40시간 근무자의 행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비정규직보다 정규직 노동자에게서 노동시간 증가가 더 크게 행복 수준을 낮추고 있으므로 정규직 중심으로 나타나는 장시간 노동의 문제를 국제 수준에 맞게 조정해가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