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김동연 경기지사 “정부, ‘북자도’ 주민투표 12월 중순까지 답해야”

‘도정 열린회의’서 “경기도 할 일은 다 했다” 발언
비용 문제 지적엔 “국가 대사로 아주 적은 투자” 비판
김창학 경기일보 기자 2023-11-22 15:30:55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2일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도정 열린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창학 기자

“12월 중순까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주민투표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중앙정부에 강력히 촉구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도정 열린회의’를 통해 “경기도가 할 수 있는 일은 다 했다. 21대 국회 내에서 특별법 철회하기 위해서는 12월 중순이 데드라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1980년대 말부터 끌어왔던 북부특별자치도에 대한 비전을 세웠고 정책의 콘텐츠를 채웠고 주민들의 생활이 뭐가 바뀌는지에 대한 것까지도 만들었고 또 해야 될 리스트까지 만들었다”며 “규제개혁과 투자 포함, 주민설명회를 북부 거의 전역을 다니면서 했고 도의회는 결의안 채택과 주민투표 그리고 특별법 개정촉구에 대한 결의를 다 해줬다”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의지를 밝혔다.

주민투표 비용과 관련, 김 지사는 “옹색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국가 대사와 대한민국 성장을 위해서 하는 큰 일에 대한 투자로써 그 정도의 주민투표에 들어가는 정도의 비용이라면 아주 적은 투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지사는 “비용 문제를 따진다면 들어간 비용에 몇 배, 몇십 배, 몇백 배 저희가 벌어들이겠다. 북부 발전시키고 우리 비전을 달성해서 대한민국 성장률 우리가 높이겠다”고 역설했다.

특히 김 지사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의사결정이 정치적인 고려에 의해서 결정을 한다면 360만이 넘는 북부주민은 물론, 1천400만 경기도민, 전체 대한민국 국민의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며 “국민들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최근 지역 최대 화두인 서울 확장 문제와 관련, 김 지사는 “아무런 비전 제시도 못하고 있고 아무런 발전의 콘텐츠도 채우지 못하고 있다”며 “의견 수렴과 어떤 지방의회의 의논과 결의도 한 바가 없는 것들을 내세웠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지사는 “혹시 북부특별자치도 주민투표를 역시 정치적으로 만약에 풀겠다고 하면 이것은 김포, 서울 편입이나 서울 확장이 정치적 목적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것과 똑같은 이유로 정치적인 자충수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