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시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도심 방향으로만 2000원 유지”

시민·전문가 등과 ‘혼잡통행료 정책 방향’ 공청회
강남 향하는 외곽 방향 통행료는 폐지 추진
용어도 ‘기후동행부담금'(가칭)으로 변경 개정 건의
권태욱 기자 2023-12-20 18:37:46
서울 남산 1호 터널./연합뉴스

서울시가 내년 1월부터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를 도심 방향에서만 징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강남 방향으로 나가는 차량에 대해서는 혼잡통행료를 징수하지 않는다. 

서울시는 20일 오후 중구 서소문1청사 후생동에서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에 대한 시민공청회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혼잡통행료 정책 방향에 대한 각계 의견을 들었다. 

이날 공청회에는 서울시·서울시의회 관계자와 서울 중구민, 관련 학계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창석 서울시 교통정책과장은 “올해 초 남산 1·3호 터널의 혼잡통행료 2000원 징수를 일시 중단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도심 통행량 측면에서 (통행료) 징수 효과가 확인됐다”며 “다만 외곽 방향, 즉 강남으로 나가는 구간은 한남대교 확장 등으로 교통 여건이 개선돼 통행료 면제 시에도 혼잡도가 크게 늘지 않아 징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사대문 안 도심의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1996년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 징수 정책을 도입하고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양방향 터널을 통과하는 10인승 이하 차량 중 3인 미만 승차 차량에 대해 혼잡통행료 2000원을 부과해왔다. 

그러나 혼잡한 도심으로 진입하는 차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혼잡이 덜한 외곽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차에도 부과해 불만이 제기됐고 통행료가 2000원으로 현재 물가 수준에 비해 낮아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시는 지난 3월17일∼5월16일까지 도심과 외곽 양방향 모두 면제하는 정책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강남 방향을 면제한 1단계에서는 통행량이 7만9550대로 5.2%, 양방향을 면제한 2단계에서는 통행량이 8만5363대로 12.9% 증가했다. 

남산 혼잡통행료 추진방안 논의 위해 마련된 시민공청회/연합뉴스

혼잡통행료를 재징수한 5월17일부터는 면제 전과 비슷한 7만5270대로 통행량이 다시 줄었다. 

서울시는 남산 1·3호 터널을 통해 진입한 차들이 바로 을지로와 퇴계로 등 항상 차가 많은 도로를 이용하다 보니 도심권 혼잡에 영향을 미쳤지만, 강남 방향 외곽지역은 강남으로 진출한 교통량이 증가해도 12차로 한남대교나 강변북로 등 도시고속도로로 분산돼 상대적으로 교통소통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런 분석 결과를 종합 고려해 시는 강남 방향에 혼잡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서울시는 향후 ‘혼잡통행료’라는 용어를 ‘기후동행부담금’(가칭) 등으로 개정하는 방안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유인 징수 방안에서 하이패스·태그리스를 이용한 무인 징수로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