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한남4구역 2331가구 대단지 조성

서울시 도시재정비위원회 가결
장위10구역 2004가구
전농13구역에 977가구
홍제2구역 132가구
권태욱 기자 2023-12-22 11:58:00
 한남4구역 위치도./서울시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과 성북구 장위10구역에 각각 아파트 2000여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21일 제12차 도시재정비위원회를 열어 ‘한남4재정비촉진구역 경관심의(안)’와 ‘장위10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촉진계획 변경(안)’을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한남4구역은 지난 2월 재정비촉진계획을 변경해 7월 교통영향평가를 거쳤으며 건축위원회 심의 신청을 앞두고 있다. 

이번 계획은 교통영향평가 결과를 반영해 일부 도로의 폭을 늘리고 공공기여 비율을 높였다. 이에 따라 용적률이 상향되고 일부 주동(건물)의 높이가 조정됐다. 

건폐율은 31%에서 29%로 감소하고 일부 주동의 형태를 타워형으로 변경해 단지 내 개방감과 쾌적성을 개선했다. 

공급 가구수는 당초 2167가구보다 164가구 늘어난 2331가구이며 이 중 350가구는 분양 세대와 차별 없는 ‘혼합배치’(소셜믹스)로 공급한다. 

위원회는 성북구 장위동 68-37번지 일대 장위10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촉진계획 변경안 역시 위원회에서 수정가결했다. 

장위10구역은 9만1362㎡에 2004가구를 공급한다. 이 중 공공주택 341가구는 분양 주택과 혼합해 배치하도록 했다.

2017년 관리처분인가를 받았지만, 종교시설과의 갈등 등으로 애를 먹었던 장위10구역은 변경안 통과로 사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서울 성북구 장위10구역 조감도./서울시

종교시설 제척에 따라 정비구역 경계를 조정하고, 도로 등 기반시설 계획도 조정한다. 지역에 필요한 공원,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도 배치한다. 

동대문구 전농13재정비촉진구역에는 977가구가 조성된다. 

전농13구역은 2008년 11월 존치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5년 만에 촉진구역 신규 지정을 앞두고 있다. 

위원회에서 ‘전농13구역 지정 및 재정비촉진계획 결정(안)’이 수정 가결되면서 주거 비율을 80% 이하에서 90% 이하까지 완화해 더 많은 주택공급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7개 동, 지상 45층의 공동주택 977가구(공공 160가구 포함)가 들어선다. 

전농13구역은 2024년 조합설립인가, 2025년 사업시행계획인가를 거쳐 2027년 착공,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서대문구 ‘홍제2 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안)’도 수정 가결했다. 

홍제2구역은 무허가 건축물 등 노후·불량 건축물이 난립한 곳으로 2005년 정비구역 지정, 2010년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2014년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이후 장기간 사업이 정체돼 있다. 

결정안은 재정비촉진지구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에 대한 주거 비율을 완화해 132가구의 공동주택(공공 19가구 포함)과 근린상가를 공급하게 됐다. 

무허가 건축물들로 인해 통행이 어려웠던 통일로 이면부는 도로·공공공지로 결정돼 정비기반시설이 확충되고 공공기여를 통해 지역 필요 시설인 사회복지시설을 건립한다. 

이외에도 위원회는 ‘은평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촉진계획에 대한 변경(안)’을 원안 가결하고 은평구 진관동 30-6번지와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1051번지를 연결하는 도로의 도시계획시설을 결정했다. ㅇ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