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대출부터 사후관리까지…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잇다’ 6월 출시

민간서민금융상품, 은행권 서민금융상품으로 확대…이용자 선택권 강화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4-01-06 07:58:54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5일 서울 중구 중앙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간담회를 열고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출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대출부터 사후관리까지 한번에 제공하는 서민금융 종합플랫폼이 6월부터 운영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 중앙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서 이용자에게 꼭 맞는 상품을 비대면으로 찾아주는 ‘서민금융 종합플랫폼’을 6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올해 서민금융 정책 키워드는 ‘수요자 편의 제고’와 ‘자활 지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민·취약계층의 자금애로 완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수요자 중심의 서민금융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수요자의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해결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펼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첫 번째 방안인 서민금융 종합플랫폼 ‘서민금융 잇다’는 대면으로만 제공해온 고용·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이 비대면으로도 가능하도록 모두 담은 서민금융 전용 플랫폼이다.

민간서민금융상품과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아울러 수요자 맞춤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을 안내하고, 수요자가 상품을 조회·선택하면 보증서 발급부터 대출 시행까지 한 번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위는 현재 2금융권 중심으로 연계돼 온 민간서민금융상품을 새희망홀씨, 사잇돌대출을 포함한 은행권 서민금융상품으로 확대해 서민금융 이용자의 선택권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연계 실적을 금융회사의 서민금융지원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등 인센티브도 마련해 은행권 참여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 플랫폼 통해 ‘비대면’ 복합상담과 사후관리까지

서민금융진흥원은 금융회사를 통해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용자의 소득, 직업 등 특성상 복합상담 필요성이 높은 이용자에게는 알림톡, SMS 등을 발송해 플랫폼 내 비대면 복합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이용자의 CB 평점 변동, 타 기관 대출 연체발생 여부 등에 따라 연체우려 징후, 장단기 연체 가능성 등을 사전에 파악해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 채무조정 제도 안내 등 이용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금융교육 콘텐츠와 신용·부채관리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은 “수요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축될 수 있도록 이용과정 매 단계마다 수요자의 입장에서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올해 6월 중 개통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재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은 “서민·취약계층이 일자리를 통해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금융위와 긴밀히 협업해 금융·고용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실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