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LH, 공공주택 건설 단계별 검증·관리 역량 강화…‘품질관리처’ 신설

‘건설혁신방안’ 발표…지역본부에 ‘품질전담부서’ 설치
‘스마트건설처’ 신설…시공과정 기록 등 디지털 건설 본격화
퇴직자 소속업체 용역심사때 최대 감점 부과 등 수주 원천 배제
중대한 구조적 부실 유발 업체 입찰땐 ‘실격’ 처리
권태욱 기자 2024-01-21 11:00:03
이한준 LH사장이 19일 경기 화성향남2 A22BL 아파트 건설현장을 방문해 건설혁신 이행현황을 점검하고 있다./LH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1일 건설 단계별 검증·관리 역량을 높여 부실시공을 근절하고 공공주택 품질을 높이기 위해 조직개편을 포함한 건설혁신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LH 현장 중심 원스톱 품질 검수를 위해 본사에 ‘품질관리처’를, 지역본부에는 ‘품질전담부서’를 신설한다. 

품질시험 점검관리와 레미콘 등 주요 자재의 품질시험, 공장 검수를 상시 수행하고 현장을 직접 관리하는 한편, 현재 서류·마감 위주의 준공검사도 비파괴 구조검사와 안전점검보고서를 교차 확인하고, 정기 안전점검도 기존 3회에서 5회로 확대해 구조안전을 강화한다. 

또 부실시공 문제를 없애고 주택 품질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건설처’를 신설해 건설산업 디지털화도 본격 추진한다. 

LH는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확산 기조에 발맞춰 스마트건설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노동집약적인 기존 생산방식을 기술집약 방식으로 바꿔 안전과 품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위해 3차원의 가상공간에다 설계, 시공에 필요한 정보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건설정보모델링(BIM) 기반 통합 플랫폼을 ‘2025년까지 구축하고 시공과정을 수기로 기록 관리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전국 건설현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스마트 통합관제 시스템도 운영한다. 

아울러 설계도면과 영상기록 등은 공개해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시공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시공과정 기록서버도 구축한다. 

기존 재래식 공법에서 발생하는 시공 오류를 줄이고 자재 품질을 높이기 위해 탈현장 시공 공법인 PC공법, 모듈러공법 등의 탈현장(OSC) 공법도 확대 적용한다. 

철근이 포함된 부재 자체를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으로 공정을 표준화해 현장에서의 오류발생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공공건설혁신 이행과제./LH

책임 건설을 위한 상벌체계도 개편해 책임건설 체계도 마련했다.

중대한 구조적 부실 유발업체는 입찰때 실격 처리하고 시공평가 배점 차등을 확대해 우수업체와 불량업체 간 변별력을 높이기로 했다. 

LH 퇴직자가 소속된 업체에게는 용역 심사에서 최대 감점을 부과해 건설사업 수주를 원천 배제하기로 했다. 

이한준 LH사장은 “국민 안전이라는 기본가치 아래 부실시공을 없애고 고품질 주택을 건설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나아가, 스마트기술 확대, 생산방식의 점진적 변화 등 건설업 혁신에 앞장서 건설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