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가정의달에도 카네이션 소비 ‘뚝’…작년보다 37% 감소

이연우 경기일보 기자 2024-05-06 16:52:20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어버이날·스승의날 등이 있는 가정의달이 찾아왔지만, 카네이션 소비는 작년보다 3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 화훼공판장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거래된 국산 절화(자른 꽃) 카네이션은 3만5천528속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만6천366속)과 비교해 37.0%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직후였던 2022년 같은 기간 거래량(7만5천937속)과 비교해도 53.2% 줄어든 수치다.

이 기간, 카네이션 한 속의 거래 가격은 평균 8천411원이었다. 지난해 동기(7천438원)보단 13.1% 올랐으나 2022년 동기(8천806원)보단 4.5% 떨어졌다.

다른 품종에 비해서도 국산 카네이션 거래량 감소는 두드러졌다.

절화 장미의 경우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4일까지 경매량은 6만9천856속으로 작년 6만7천169속보다 4.0% 늘었고, 2022년 동기(7만1천772속)와 비교하면 2.7%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수입산’과의 가격 경쟁이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절화 카네이션 수입량은 올해 1~3월 410t(톤)으로 작년 동기 346.5t보다 18.3% 늘었으나 2022년 265.2t과 비교하면 54.6% 증가했다.

아울러 경기 악화, 소비 트렌드의 변화 등으로 꽃다발이나 꽃꽂이에 쓰는 절화류 카네이션 소비 자체가 줄었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 절화 거래의 기본 단위인 ‘속’은 카네이션의 경우 20송이, 장미의 경우 10송이를 뜻한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