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규모 202조원…“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두배”
2024-02-20
건설업계는 정부가 13일 발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책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분양이 양호한 수도권의 아파트는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분양성이 떨어지는 지방 소규모 아파트 단지나 오피스텔, 생활형숙박시설, 지식산업센터 등 비아파트에서 정리되는 부실 사업장이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건설업계는 부실 사업장 정리는 바람직하지만 우량 사업장까지 정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대로 된 사업성 평가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박정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은행과 보험권의 신디케이트론,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 매입,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부실채권 매입 등을 통해 9조1천억원을 지원한다는 안을 내놨지만, 브릿지론만 14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등 부실 사업장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시장 충격 흡수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전문가들은 부실 우려 사업장에 대한 경공매 추진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토지 가격을 낮춰서 경공매를 추진한다고 해도 누가 사줄 것인지의 문제가 남아있다”며 “특히 사업성이 없는 곳은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지방 사업장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작은 건설사는 사업 하나 엎어지면 그동안 투입한 비용이 모두 매몰돼 버틸 수 없게 돼 중소 사업자는 걱정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