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몽 수교 35주년 특집...도전과 기회의 몽골 경제 ①
2025-04-25

정부는 북한의 잇따른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나서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9일 오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회의를 열고 이날 중 대북 확성기를 설치한 뒤 방송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우리 국민의 불안과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려는 어떤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면서 "앞으로 남북 간 긴장 고조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측에 달려있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경고했다.
대통령실은 또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확고하고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유지할 것이며, 우리 국민 안전과 국가 안보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취하는 조치들은 북한 정권에는 감내하기 힘들지라도, 북한의 군과 주민들에게는 빛과 희망의 소식을 전해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8∼29일, 이달 1∼2일 두차례에 걸쳐 오물풍선 1천여개를 남쪽으로 살포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일 긴급 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 의지를 밝혔다.
이어 지난 4일 국무회의를 열고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 대북 확성기 방송 제약 등 접경지 인근 우리 군의 활동을 제약하는 규정을 모두 풀었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가 있었으나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과 9·19 군사합의에 따라 고정식 확성기는 철거돼 창고에 보관 중이다. 이동식 장비인 차량용 확성기도 인근 부대에 배치돼 있다.
군 당군은 이들 고정식·이동식 확성기 모두 언제든지 재가동할 준비를 마친 상태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