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증가세다.
30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서 15억원을 넘는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45%를 기록했다.
2006년 실거래 집계 공개 이후 서울지역 아파트 15억원 초과 매매거래 비중이 반기별 20% 비중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하반기 서울 아파트 15억원 초과 매매 비중은 17.68%였다.
서울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22년 하반기 13.6% △2023년 상반기 17.24% △2023년 하반기 18.44%로 올해 상반기까지 3반기 연속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지역 9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54.02% 절반을 넘었다. 2020년 40.14% 이후 2022년 33.28%로 줄어든 거래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45.27%와 하반기 47.77%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규제지역 해제와 과세완화 조치 및 특례보금자리론 시행 등이 이뤄졌다.
우린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한강변 일대 고가 아파트 밀집을 서울 아파트 고가 거래 비중 증가 요인이라고 분석한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강남 3구 15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은 66.54%다. 마포·용산·성동구 15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도 32.07%를 기록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완화 및 연내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과 종합부동산세 인하 기대가 큰 편이다”라며 “똘똘한 한 채의 선호가 강남 3구와 한강변 일대로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상승과 PF 대출 냉각, 공사비 인상 요인 등으로 서울 아파트 신규 분양공급량이 저조한 편이라 고급 유효수요가 밀집한 지역의 주거 선호나 공급 희소성이 부각되고 서울 내 가격 흐름을 주도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