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시,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 작은빨간집 모기 발견…물림 주의 당부

공원·산책로 등서 올해 첫 확인
일본뇌염바이러스는 불검출
권태욱 기자 2024-08-05 16:31:21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직원이 작은빨간집모기를 채집하고 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를 올해 처음으로 서울 시내에서 채집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원은 서울 시내 공원과 산책로 등에서 숲모기 조사를 벌인 결과,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를 지난달 26일 채집했다. 다만 이 모기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원은 검사 결과를 채집 지역에 공유하고 방제를 요청했다. 아울러 주거 지역 모기 감시 강화를 위해 서울시 시민건강국에 검사 결과를 공유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8월에서 9월까지 가장 많이 발견된다. 흡혈 활동은 오후 8시부터 10시까지 가장 활발하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는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7월 초부터 발생 밀도가 증가한 뒤 8월과 9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유지하다 10월 상순 이후에는 거의 채집되지 않는다.

연구원은 전국 휴가지에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발열이나 두통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뇌염 임상 증상은 대부분 발열과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과 발작 등 심각한 증상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나면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을 받아야 한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서울시에서도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채집됨에 따라 연구원은 모기 조사 사업을 강화해 모기 감염병 예방에 힘쓸 예정”이라며 “야외 활동때에는 기피제를 사용하고 집안의 방충망 등을 정비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