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3월 수출 작년보다 3.1% 증가… 대중국 수출은 급감

대중국 수출 4.1% 줄고 미국 EU 등 수출 증가
IT 품목들 모두 흑자 전환, 선박도 15개월 만에 최대치
美 관세 타격 입은 철강, 단가 하락 겹쳐 감소세 지속
임동수 2025-04-01 18:09:27
 수출 수입 교역 현장. 연합뉴스

3월 수출이 작년보다 3.1% 늘며 역대 3월 중 2위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컴퓨터 등 IT(정보통신) 품목과 자동차, 선박, 의약품 수출이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철강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우려 속 10%대 하락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지난 3월 수출이 582억8000만달러로 2022년 3월(637억9000만달러)에 이어 3월 기준 역대 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1월만 해도 전년보다 10% 감소했지만 2월 플러스(+)로 전환한 데 이어 3월까지 두 달 연속 성장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작년보다 5.5% 증가한 26억5000만달러로 나타났다.
 
IT 품목들은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호조세에 따라 11.9% 증가하면서 플러스 전환했다. 15개월 연속 성장세인 컴퓨터 수출은 3월 33.1%로 크게 늘었고 무선통신기기도 13.8% 오르며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디스플레이는 작년 8월부터 7개월 간 감소 흐름을 보였지만 이달 2.9% 오르면서 다시 흑자로 돌아섰다.

최대 수출품목인 자동차는 전기차가 작년보다 39% 크게 줄었지만 하이브리드차(39%)와 내연기관차(3%) 수출이 늘면서 1.2% 증가한 62억달러를 기록했다. 선박은 2023년 12월(37억달러) 이후 15개월 만에 최대인 32억달러를 냈다. 작년 3월보다 51.6% 오르면서 흑자전환했다. 바이오헬스도 의약품 중심으로 수출이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달 12일부터 25% 관세를 내는 철강은 판매 단가 하락의 영향으로 수출이 10.6% 감소했다. 석유제품도 국제 유가가 16% 이상 하락하고 수출 물량도 위축되면서 수출이 28.1% 준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과 함께 대미 수출품에 25% 관세가 매겨지고 있는 알루미늄 수출은 20.4% 증가했다.
 
CIS(30.1%) 중동(13.6%) EU(9.8%) 아세안(9.1%) 미국(2.3%) 순으로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중국은 석유화학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호조를 보였지만 반도체 수출이 급감하면서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미국이 1월 1일부터 HBM 유입에 제재를 가해 국내의 HBM 중국 수출도 함께 타격을 받고 있다.

3월 수입은 작년보다 2.3% 증가한 533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582억8000만달러)이 이를 뛰어넘으면서 무역수지는 49억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