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건설사 10곳 중 4곳 채무 상환 어려워…잠재적 부실기업”

2022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결과
김태준 건정연 연구원 “반등 없으면 2024년 부실 본격화”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29 10:49:03
/연합뉴스 자료사진 

건설기업 10곳 중 4곳이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영)의 ‘2022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 전체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다. 

건설업의 경우,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 5.1에 못 미쳐 채무상환능력이 낮은 업종임을 보여줬다.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 비중은 2018년 32.3%(642개사)에서 지난해 41.6%(929개사)로 4년 새 10%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는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인 영업활동으로는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취약기업임을 의미한다.

한계기업 증가에는 종합건설업종 및 전문건설업종의 한계기업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건설업에서 약 18.7%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으며, 종합건설업은 22.1%, 전문건설업은 13.5%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을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전체 387개사 중 54개사로 14.0% 비중을 차지했고, 중소기업은 333개사로 86.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7.4%)보다 비수도권의 비중(20.3%)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수도권(0.8%포인트)보다 비수도권의 증가율(2.3%포인트)이 더 높았다.

김태준 건정연 연구위원은 “최근 한계기업의 증가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의 증가가 이뤄졌으나 물가상승에 따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자비용의 부담이 급증한 것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전문건설업종은 건설경기 호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익률이 하락하며 최근 5년 새 가장 낮은 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어 전문건설업 부실 또한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만약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2024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