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몽 수교 35주년 특집...도전과 기회의 몽골 경제 ①
2025-04-25

선도지구는 가장 먼저 정비가 이뤄져 유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인데, 정부가 지자체별 복수 후보지를 선정하고 지자체가 선택하기 앞서 개발 필요성을 피력하기 위한 처사로 풀이된다.
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와 오는 8일 국회 본회의까지 일사천리로 통과할 경우 이르면 내년 4월께 시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중 기본방침(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뒤 선도지구를 각 1기 신도시 지자체마다 1~2곳을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춰 각 지자체는 올해 1월부터 재정비 기본계획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 용역은 국토부의 기본방침 수립과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기본계획에는 후보지별 개발 방향 등과 재건축을 추진할 선도지구가 포함된다.
지자체는 국토부가 선도지구 후보지를 지정하는 대로 공모를 거칠 계획이며, 특별정비예정구역으로 정해진 구역 중에서 국토부에 공모할 선도지구 후보지를 추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별정비예정구역은 통합정비, 광역교통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 복합·고밀도 개발 등 도시 기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는 구역이다.
그러자 지역별 1기 신도시 주민들은 선도지구 지정 채비에 분주해졌다. 성남 분당, 안양 평촌 등지 주민들은 선도지구 지정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단지별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가 구성, 사전 동의율 확보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안양 평촌 초원7단지부영 주민들은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또 분당에서는 한솔 1·2·3단지 등에서 통합 재건축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구성했고, 이외에도 분당 시범단지 등에서도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솔 추진위 관계자는 “선도지구는 가장 빨리 재정비를 진행하는 단지인 만큼, 내년 발표가 있을 선도지구 대응을 위해 주민 동의율을 확보, 차례대로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선도지구는 국토부가 최종 지정권자인 만큼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지정하게 돼 있다”며 “향후 선도지구 지정에 있어 정부와 시·군간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