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3분기 기업 성장성 3년 만에 ‘최저’…성장·수익 악화

전년동기비 매출 2분기 연속 줄어
3년3개월 만에 최대폭 감소
반도체·자동차 수출 성장세 부진
권태욱 기자 2023-12-12 16:43:37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의 모습./연합뉴스


올해 3분기 우리나라 기업들의 성장성이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도체 업황 개선에도 자동차 수출과 전기가스업 성장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2962개(제조업 1만1604개·비제조업 1만1358개)의 3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줄었다.

매출은 지난 2분기 이후 두 분기째 전년 동기 대비 뒷걸음쳤으며, 감소율은 2020년 2분기(-10.1%) 이후 가장 컸다.

제조업의 경우 매출 감소 폭(-6.8%)이 2분기(-6.9%)와 비슷했다.

세부 업종별로 기계·전기전자업(-15.4%→-8.8%)의 부진이 이어졌으나, 매출액 감소 폭은 축소됐다.

반도체 가격 하락에도 인공지능(AI) 수요 확대 등으로 반도체 수출액 감소 폭(-34.8%→-22.6%)이 줄어든 영향이다.

자동차·운송장비(23.7%→10.0%)는 수출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매출 증가 폭이 축소됐다.

자료/한국은행

비제조업 매출 증가율은 2분기 -0.7%에서 3분기 -3.1%로 감소 폭이 확대됐다.

전기가스업(10.0%→-1.9%)이 기저효과 영향으로 부진했고, 도소매업(-5.1%→-7.0%)의 매출 하락 폭도 컸다.

수익성 지표도 악화했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3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4.0%)은 작년 3분기(4.8%)보다 하락했다.

업종별로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작년 3분기 5.4%에서 올해 3분기 4.0%로 1.4%포인트(p) 내렸다. 반면 비제조업(4.0%→4.1%)은 소폭 상승했다.

세부 업종 중에서는 제조업 가운데 기계·전기전자(8.7%→0.9%)와 비제조업 중 운수업(15.0%→7.9%)의 이익률 하락이 두드러졌다.

각각 반도체 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자산 평가손실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 하락 등에 따른 수익성 저하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편 전기가스업(-16.6%→1.2%)은 전력 도매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률이 올랐다.

세전 순이익률(5.1%)은 작년 3분기(5.0%)와 비슷했다.

재무 안정성 지표를 보면, 전체 기업의 3분기 부채 비율(90.2%)은 2분기(90.8%)보다 낮아졌다. 차입금 의존도(26.0%→25.9%)도 소폭 개선됐다.

이성환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 4분기부터 반도체 업황이 좋지 않았는데, 반도체 재고가 거의 떨어지고 고급화된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4분기에는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