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 지하철5호선 중재안 놓고 또 갈등조짐”…“이젠 지겹다…빨리 진행해야”

국토부 대광위, 사실상 김포시 손 들어줘
인천 '불로·원당역' 빠져…서구청장 등 반발
지역 시민들 “예타면제 집중…사업지연 반대”
권태욱 기자 2024-01-19 17:26:05
 대광위가 발표한 서울5호선 김포·검단 노선안. / 대광위

정부가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구간(서울 방화역∼인천 검단신도시∼김포 한강신도시) 노선 중재안을 내놓자 인천시민들은 반발하는 반면 김포시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 노선 조정 및 사업비용 분담 방안 등을 발표했다. 

중재안에는 그동안 인천시와 김포시가 주장한 내용들이 일정 부분 반영됐다. 노선은 인천시가 제안한 ‘U’자와 가깝지만, 역사 수에서는 인천 경유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김포시 안과 비슷하다. 

하지만 사실상 중재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김포시의 손을 들어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인천시는 검단지역 가칭 아리역(101역), 102역, 원당사거리역, 불로역 등 4개 역을 지나는 노선안을 제시했지만 대광위는 101역, 102역만 반영했다. 또 인천·김포 경계 지역의 역위치는 인천 불로동에서 김포 감정동으로 1.5㎞가량 옮기기로 했다. 

김포시는 기존 협의에서 검단지역 중 102역 등 2개 역만 경유하는 노선안을 요구했고 이번 대광위 제시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김포시는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을 수용하는 만큼 김포 지역을 중심으로 하면서 인천 지역에는 최소 2개역만 경유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김포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광위 발표로 해결점을 바라보게 됐다”며 “향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5호선 연장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게 발 빠르게 움직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인천시 서구와 검단 일부 지역 주민들은 국토부의 중재안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서구에 무엇보다 절실한 검단 원도심 내 원당지구역과 불로역을 빼앗아 갔다”며 “불합리하고 황당하며 타당한 근거 없이 누구의 지지도 없을 수 없는 노선은 어떤 조건을 달더라도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국토부는 제시안의 근거가 되는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하라”며 “만약 공개하지 못하면 이번 노선안이 밀실야합을 통해 만들어진 누더기 노선안이라 판단하고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단신도시총연합회(검신총연)도 성명을 통해 “대광위 제시안에는 당연히 만들어져야 할 원당사거리역이 제외됐고 불로역은 감정동으로 옮겨지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졌다”며 “인천시가 요구한 원안대로 불로동을 위한 인근 역(102역)의 위치 변경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단신도시에 사는 황모(33)씨는 “김포시의 주장대로 원당역이 빠진 것을 인천시가 받아들이면 안된다”며 “감정역이 생긴 것은 너무 뜬금없다”고 말했다. 

반면 온라인커뮤니티 게시판에는 김포시와 인천시의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것에 반대하는 글들도 눈에 띈다.

아이디가 gono****란 누리꾼은 “대광위 중재안 환영합니다. 이제 예타면제로 빨리 진행합시다”라는 글을 올렸다.  

검단신도시 주민이라는 누리꾼은 “중재안이 발표됐으니 빠른 착공 기대합니다”, “예타면제하고 올해에는 제발 빨리 진행좀 합시다. 질질 끄는것도 정도껏이지 이젠 지겹다”라는 글들이 보인다. 

김포 한강신도시에 사는 박모씨는 “중재안에 반대하는 시민들도 있겠지만 이제는 다투기보다는 단결해서 예타 면제에 집중하는 게 현명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정부는 각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할 여지는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강희업 국토부 대광위원장은 “각 지자체의 의견을 검토할 여지가 있다”며 “건의 사항에 대한 (지자체의) 디테일한 분석 결과 등을 보면 충분히 (의견 수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2월까지 의견 수렴을 위한 주민 공청회 등 프로세스를 거치면 올해 5월 중 광역교통시행계획이 끝날 거 같다”며 “이후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해서 신속 예타를 거칠지, 예타 면제를 할지 등을 별도로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