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서울 주택보급률 93.7%…13년 만에 최저

2020년부터 수도권·지방 주택보급률 동시 하락
인구 줄지만 ‘1인 가구’ 분화로 가구 수 증가
권태욱 기자 2024-01-23 10:12:59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 지역의 모습./연합뉴스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7%로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1인 가구 분화 등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수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를 보면 2022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1%로 1년 새 0.1%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2020년 103.6%로 꺾였고,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거주 가구 수에 비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다. 

서울의 경우 주택보급률이 2020년 96.0%에서 2021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로 감소했다. 

2022년 수치는 2009년(93.1%)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다. 

2022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09만8천8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3만9천800호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5만9천호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8.6%), 인천(97.9%), 대전(97.2%) 4곳이다. 

2019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100% 아래인 곳은 서울 한 곳이었으나 차츰 확산됐다. 

반면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2%)이며, 전남(112.4%), 충북(111.6%), 충남(110.3%)이 뒤를 이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