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탄소중립포인트로 가스비 낸다…텀블러 쓰면 카페주인도 15만원

‘탄소중립포인트 제도 운영에 관한 규정’ 개정
점주들도 소비자가 받는 포인트의 10% 지급
이승욱 기자 2024-02-09 09:31:04
텀블러에 음료를 담는 모습./연합뉴스

집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받을 수 있는 ‘탄소중립포인트’로 도시가스 요금을 낼 수 있게 됐다. 

카페에서 손님이 텀블러에 음료를 받아 가면 점주에게도 연간 최대 15만포인트가 지급된다. 

9일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탄소중립포인트 제도 운영에 관한 규정’이 7일 개정·고시되면서 ‘탄소중립포인트 에너지’로 도시가스 요금을 낼 수 있게 됐다. 

포인트로 도시가스 요금납부는 ‘가스앱(도시가스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능하다. 

에너지 분야 탄소중립포인트는 전기·수돗물·도시가스를 전보다 덜 쓰면 준다. 

예컨대 집 도시가스 사용량을 과거 1~2년 평균보다 ‘5% 이상 10% 미만’ 감축했다면 3천포인트, ‘10% 이상 15% 미만’으로 줄였다면 6천포인트, 감축률이 15% 이상이면 8천포인트를 준다. 

이렇게 모은 포인트는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쓰레기종량제봉투나 교통카드, 상품권 등으로 교환하거나, 지방세와 아파트 관리비를 내는 데 쓸 수도 있다. 

지자체별로 포인트 활용처가 다르며 현금과 교환비도 다른데, 최대는 ‘1포인트에 2원’이다. 

또 소상공인을 위한 혜택도 생겼다.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텀블러·다회용컵을 이용하거나, 배달앱을 통해 음식을 배달시켜 먹을 때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등 녹색생활을 실천해도 탄소중립포인트를 준다. 

이때 소상공인인 점주들에게도 소비자가 받는 포인트의 10%만큼 지급된다. 

카페에서 텀블러·다회용컵 사용 시 소비자가 받는 포인트는 1회에 300원이므로, 점주는 음료를 소비자가 가져온 텀블러에 담아 내줄 때 30원씩 받게 된다. 

음식을 배달받을 때 다회용기를 쓰면 소비자가 받는 포인트는 1회당 1천원, 점주가 받는 100원이다. 

다만 소상공인은 연간 최대 15만원까지만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탄소중립포인트제에 가입한 국민은 지난해 말 기준 104만명이다. 

지난해와 재작년 국민이 받아 간 포인트는 113억5천여만원에 달한다. 

환경부는 올해 포인트 지급 예산으로 147억7천여만원을 편성해둔 상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