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나스닥 2년 3개월만에 최고치 마감…AI 주도 랠리 지속

0.9% 오른 16,091.92 마감…美증시 3대지수 모두 금리인상 충격 만회
연합뉴스 2024-03-01 09:48:08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연합뉴스 제공

미국 뉴욕증시의 대표지수 중 하나인 나스닥 지수가 2년여 만에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이로써 미국 증시 3대 주가지수 모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파른 긴축이 가져왔던 충격을 만회하게 됐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44.18포인트(0.90%) 오른 16,091.92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지난 2021년 11월 19일(16,057.44)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37포인트(0.12%) 오른 38,996.39,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6.51포인트(0.52%) 오른 5,096.27에 마감했다.

미 증시는 고물가에 대응한 미 연준의 금리 인상과 경기둔화 우려 여파로 2021년 말∼2022년 초를 기점으로 급락한 바 있다. 특히 팬데믹 기간 제로금리 정책의 수혜로 상승 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의 가격 하락 폭이 컸다.

그러나 지난해 들어 '매그니피센트 7'(M7·애플, 아마존닷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플랫폼, 테슬라, 엔비디아) 등 대형 기술주들이 다시금 반등한 것에 힘입어 지수 회복의 발판을 마련했다.

새해 들어서도 인공지능(AI) 분야 대장주 격인 엔비디아를 필두로 증시가 랠리를 펼치면서 나스닥지수가 최고점을 돌파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나아가 이날 새로 발표된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수가 전문가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나스닥이 새 기록을 세우는 데 역할을 했다.

이날 발표된 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3%,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4% 상승해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를 지속시켰지만, 상승 폭은 전문가 전망치 수준에 머물렀다.

인디펜던트 어드바이저 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오늘 아침 발표된 지표는 강세론자들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게 했다"며 "이들은 인플레이션이 재개해 연준이 금리 인하를 연기할 것을 우려해왔다"라고 말했다.

pan@yna.co.kr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