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준의 백년효성]① 고객과 ‘상생’, 100년 기업의 완결 조건
2024-02-21

중소기업중앙회는 향년 89세를 일기로 별세한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에 대해 대·중소기업 상생에 앞장서 왔다며 애도를 표했다.
중기중앙회는 31일 논평을 통해 “중소기업계는 조 명예회장 별세에 깊은 애도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기원한다”며 “조 명예회장은 그룹 경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재계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맡아왔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07∼2011년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 재임 동안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누구보다 앞장선 분”이라며 “고인은 2008년 10월 중기중앙회를 직접 방문해 전경련 회장으로는 최초로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선언문’을 공동 발표하고 대·중소기업협력재단에 민간상생협력위원회를 구성해 대·중소기업 관련 사회적 이슈를 논의했다”고 추모했다.
중앙회는 “특히 2009년 1월에는 대구 성서공단을 찾아 대·중소기업 경제단체장들과 함께 중소기업 현장 애로간담회를 갖는 등 중소기업 발전에 많은 공을 들였다”고 설명했다.
29일 별세한 고(故)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을 추모하기 위한 정·재계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빈소가 마련된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는 장남인 조현준 효성 회장과 삼남인 조현상 부회장은 임종을 지켰다. ‘효성 형제의 난’을 촉발한 차남 조현문 효성 전 부사장은 30일 오후 2시께 빈소를 찾아 5분 정도 머무른 뒤 자리를 떴다.
재계 오너 일가 중에서는 가장 먼저 고인의 동생인 조양래 한국앤컴퍼니(옛 한국타이어그룹) 명예회장이 차남인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과 함께 침통한 표정으로 빈소를 찾아 1시간가량 머물렀다.
효성의 창업주인 고 조홍제 회장은 장남인 조석래 명예회장에게 효성을 물려줬고, 차남 조양래 명예회장과 삼남 조욱래 DSDL(옛 동성개발) 회장에게는 각각 한국타이어와 대전피혁의 경영을 맡겼다.
조현범 회장은 “아버지(조양래 명예회장)가 막바지에 (고인을) 못 봐서 매우 슬퍼했고 얼굴을 아쉬워했다”며 “(고인이) 막바지에 정신적으로나 몸적으로나 많이 고생을 하셔서 마음이 굉장히 아프고, 좋은 곳에 가셔서 편하게 쉬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4대 그룹 중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모친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과 함께 가장 먼저 빈소를 찾았다.
이 회장은 상주인 장남 조현준 효성 회장과 1968년생 동갑내기로, 어릴 때부터 친분을 쌓아왔으며 일본 게이오대에서 함께 공부하는 등 막역한 사이로 알려졌다.
이 회장의 동생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겸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도 오후 4시 30분께 남편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과 함께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이날 오후 4시 30분께 부인 정지선 씨와 함께 빈소를 찾아 유족을 위로했다.
정 회장은 “좋은 분이셨다. 아주 잘해주셨다”며 “(유족에게) 좋은 곳으로 잘 가시길 바란다고 했다”고 말했다.
오후 5시께 빈소에 온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부회장)은 “훌륭한 분이시고 산업계에 큰 영향을 주셨다”며 고인을 추모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그룹 사장단 10여명과 함께 오후 7시께 빈소를 찾아 “고인은 제가 잘 모르지만 조현준 회장님하고 친하다”면서 “저도 얼마 전에 (상을) 겪어봐서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유족을 위로했다고 전했다.
또 재계에서 한일경제협회장인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이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조 명예회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을 하던 시절 인연을 맺은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등도 빈소를 찾아 고인을 기렸다.
한 총리는 “조 명예회장은 제가 지난번 총리를 할 때 전경련 회장으로 경제계를 대표해서 일을 많이 하고 한미 간에 우호 관계를 맺는 데 굉장히 기여를 많이 했다”며 “제가 항상 존경하는 기업인이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조문을 왔다”고 말했다.
외부 인사 중에서는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상근부회장이 가장 먼저 빈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조현준 회장의 장인인 이희상 전 동아원그룹 회장,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태완 효성 전 부회장, 봉욱 전 대검 차장검사, 이종찬 전 국정원장,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장, 등의 추모 발길이 이어졌다.
빈소에는 윤석열 대통령 명의의 조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보낸 조화가 양쪽에 나란히 놓였다. 영정 사진 앞에는 고인이 1987년 받은 금탑산업훈장이 함께 놓였다.

향년 89세로 별세한 조 명예회장은 2017년 고령과 건강상의 이유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최근 건강이 악화해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왔다.
1935년 경남 함안에서 태어난 조 명예회장은 고(故) 조홍제 효성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일본 와세다대에서 응용화학을 전공하고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원에서 화공학 석사 학위까지 받았다.
당초 대학교수를 꿈꿨으나 1966년 박사 과정을 준비하던 중 부친의 부름을 받고 귀국, 효성물산에 입사하며 기업인의 삶을 시작했다.
이후 동양나일론 울산공장 건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이는 향후 효성그룹 성장의 기틀이 됐다는 평가다.
1973년 동양폴리에스터를 설립하면서 화섬사업 기반을 다졌고, 1975년 한영공업(현 효성중공업)을 인수해 중화학공업에도 진출했다.
1982년 효성중공업 회장직을 물려받으면서 본격적으로 경영 전면에 나섰다.
회장 취임 이후 35년간 그룹을 이끈 조 명예회장은 경영 혁신과 주력 사업 부문의 글로벌화를 진두지휘하며 효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조 명예회장은 생전 “글로벌 기업으로서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가격이 아닌 품질로 승부해야 한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품질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강조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송광자 여사, 장남인 조현준 회장과 차남 조현문 전 부사장, 삼남 조현상 부회장 등이 있다. 장례는 5일간 효성그룹장으로 치러진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가 명예장례위원장을, 이상운 효성 부회장이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영결식은 4월 2일 오전 8시 열린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