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월급 빼고 다 오르니…’ 고물가에 가구 실질소득 급감

명목소득 올랐지만 1분기 가계 실질소득 1.6% 하락
실질 근로소득은 3.9%나 줄어…2006년 이후 최대 폭
처분가능소득 흑자액은 줄어…적자가구율은 28%
이승욱 기자 2024-05-23 17:46:51
/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구당 소득이 다소 증가했지만 고물가 영향으로 실질소득은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월급만 빼고 다 올랐다’는 물가 상승 파고에 팍팍해진 살림살이가 여실히 드러나는 현실이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1인 이상 가구와 농림어가를 포함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4%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최근 3개 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올해 1분기 들어서는 증가 폭이 전 분기 3.9%보다 크게 줄었다. 

가계소득 증가 폭 감소는 근로소득의 감소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대기업 근로자들도 지난해 대기업 실적 부진에 따라 상여금 수입이 줄면서 가계소득 중 근로소득은 2021년 1분기 당시 –1.3% 감소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이에 반해 가계소득 중 사업소득은 87만5천원으로 8.9% 늘었다. 이전소득은 81만8천원으로 5.8% 증가했다. 사업소득은 임대소득과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이, 이전소득은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인상, 부모급여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 

명목소득이 전체적으로 증가했지만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1.6% 감소했다. 2021년 1분 기준 –1% 이후 3년 만에 감소하며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가계 실질소득 중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어,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반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 늘어났다. 이자 비용 증가 등 비소비지출은 1.2% 늘어나 107만6천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아껴도 줄일 수 없는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4만6천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보다 1.4%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처분가능소득에서 가구가 소비를 한 지출액을 뺀 흑자액은 113만8천원으로 2.6% 감소하며 3개 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아 적자를 본 적자가구 비율은 26.8%로 전년 동기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한편 1분위 가구(소득 하위 20%)와 5분위 가구(소득 상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천원, 1천125만8천원으로 집계됐다. 

1분위 가구 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7.6% 늘고, 5분위 가구는 2% 감소하면서 소득 불평등 지표는 다소 개선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대기업 근로자 등 고소득 가구 상여금이 감소한 영향인 만큼 실질적인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해석도 나온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