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알리·쉬인 어린이용 물놀이 기구서 발암물질…최대 290배

이연우 경기일보 기자 2024-08-01 09:54:00
서울시 제공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튜브·비치볼 등 어린이용 물놀이 기구에서 기준치의 290배가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알리익스프레스와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튜브·물안경·수영복 등 25개 제품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나왔다고 1일 밝혔다.

먼저 어린이용 튜브 3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중금속, 물리적 요건 등에서 국내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

2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가 기준치 대비 각각 최대 290배, 219배 초과 검출됐고, 나머지 1개 튜브의 공기 주입구에서는 카드뮴이 기준치의 1.44배를 초과했다.

물리적 시험에서는 3개 제품 모두 튜브 본체 두께가 국내 기준치보다 얇아 ‘미달’이었다.

내분비계 장애 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정자 수 감소, 불임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 중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카드뮴은 간과 신장에 축적되는 발암성 물질로 호흡계와 신경계 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 쉬인에서 파는 어린이용 비치볼의 공기 주입구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DINP)가 기준치 대비 100배 초과 검출됐다. 납과 카드뮴도 기준치 대비 각각 9배, 2.72배 초과 상태였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치며 암 위험을 높인다.

이와 함께 수영복 2종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중금속, 물리적 요건 등에서 국내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

남아 수영복의 경우 지퍼 부분에서 납은 기준치 대비 6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25배 초과 검출됐고, 여아 수영복은 물리적 시험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아동용 아쿠아 슈즈의 안감과 겉감에서는 노닐페놀이 기준치 대비 각각 1.94배, 2.81배 초과 검출됐다. 노닐페놀은 생식기능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서울시는 어린이용 자전거·인라인스케이트 등 야외활동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도 시행할 계획이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가을의 전령사
한여름이 되면 그 동안의 강렬한 햇볕으로 대지가 충분히 달궈져 그 열기가 더 이상 땅으로 흡수되지 못
‘열대야(熱帶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