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정부 "해상풍력 확대"...50조원 해상풍력 시장 예고

2026년 상반기까지 7∼8GW 물량…10월 입찰공고
국내 공급망 기여·유지보수 역량 등 비가격지표 배점 확대
권태훈 기자 2024-08-08 14:19:32
올해 하반기부터 오는 2026년 상반기까지 2년간 최대 8GW(기가와트) 수준의 대규모 해상풍력 입찰시장이 열린다.

원전 8기와 비슷한 규모로, 해상풍력 설비 1GW당 건설비를 약 7조원으로 잡으면 앞으로 2년 내 50조원 안팎의 해상풍력 시장이 형성되는 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해상풍력 업계 간담회를 열고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을 발표했다.

그간 에너지업계 안팎에서는 해상풍력이 재생에너지 핵심 전원으로 부상하는 만큼 정부가 시장과 제도,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 따르면 2030년 국내 풍력 설비 보급은 18.3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규모 있는 해상풍력 경쟁입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해상풍력 설비는 원전 1기에 맞먹는 1GW 규모로 운영돼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해외 기관으로부터 예상치 못한 해킹 공격이 들어오거나, 고장 등 유지보수 문제가 발생해 해상풍력 설비가 멈출 경우 전력망에 끼치는 손실도 클 수밖에 없다.

이에 정부는 해상풍력 입찰 평가에서 비가격 지표 평가 이후 가격 경쟁을 추가하는 '2단계 평가 체계'를 도입하기로 했다.

적기 준공 및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능력, 국내 공기업 참여 등의 공공역할, 안보에 미치는 영향 등 '가격 외 지표'를 바탕으로 1차 컷오프를 한 뒤 가격지표 점수를 합산해 최종 입찰자를 선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 가격지표의 점수 비중을 60%에서 50%로 줄인 대신, 안보·공공역할 등을 고려한 비가격 지표의 비중을 40%에서 50%로 늘렸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이번 로드맵 발표를 통해 안정적인 입찰 물량을 사전에 제시할 것"이라며 "국내외 기업의 해상풍력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일자리 창출과 함께 항만·선박 등 관련 기반 시설 구축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