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조기 인도 성공
2025-02-03

2030년까지 14GW의 해상풍력 확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전단가(LCOE) 인하를 통한 경제성 확보와 국민 부담 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시립대 이동규교수는 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해상풍력의 경제성 확보방안' 토론회에서 해상풍력의 높은 발전단가(LCOE)를 인하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전체 투자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자본적 지출(CAPEX) 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방안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진욱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동구남구갑)과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 한국풍력산업협회가 함께 주최했다.
이 교수는 CAPEX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터빈의 경우, 10MW 초과 대형터빈의 경우 국내기업이 생산을 하지 못해 100% 해외 의존을 하는 상황에서, 국내 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가지게 된 유럽계 터빈 가격이 매년 급상승하여 발전단가가 상승하고 해상풍력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외 제조사의 참여를 유도하고, 국내 위탁생산 또는 JV 설립을 통한 전략적 제휴를 확대함으로써 기술이전과 국내 생산기반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관련 연구기관과 산업계, 금융계, 연구기관, 소비자단체 등 전문가들이 해상풍력의 경제성 확보 필요성과 구체적인 실현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 최광준 재생에너지보급과장은 “해상풍력시장을 키우는 것이 재생에너지 확대에서 중요한 과제”라며 “공공과 민간의 트랙을 달리하여 입찰의 평가요소를 달리하고 민간은 LCOE 인하요소의 비중을 평가에서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진욱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15년간 해상풍력 확대에 실패한 결과, LCOE가 유럽이나 중국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위해 해상풍력의 신속한 확대와 국민 부담 최소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발전단가는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기자본 투자 및 프로젝트파이낸싱(PF)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해상풍력을 빠르게 확대하기 위해서는 공공 부문의 주도하에 민간이 협력하는 형태로 혁신을 촉진하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한다.
지난 해와 올해 정부 경쟁입찰에서 선정된 10개 사업(3GW) 중 7월 현재 낙월해상풍력사업 (365MW) 1개 사업만이 시공중이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등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가 확대됨에 따라 태양광․풍력 등 발전단가가 크게 하락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해상풍력의 발전단가만 유럽과 중국 등 선도국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