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수익성 기반 질적 성장을 목표로 한 밸류업 방향성을 구체화했다.
현대모비스는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규석 현대모비스 대표이사 사장은 중장기 성장 방향성과 제반 전략을 직접 공개하고 글로벌 영업과 ESG 등 각 부문 전략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설명했다.
이번 행사에는 이규석 사장, 악셀 마슈 영업부문 부사장, 김선섭 전동화·모듈BU 부사장, 정수경 전장BU 부사장, 이병훈 샤시안전BU 전무, 박철홍 반도체사업담당 전무, 박기태 재경부문 전무, 손찬모 서비스부품BU 전무, 박정훈 램프BU 상무, 이의섭 IR담당 상무 등이 발표자 및 패널로 나서 중장기 사업전략을 설명했다.
현대모비스가 기업설명회가 아닌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CEO가 직접 발표자로 나서 미래 비전과 전략을 설명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2027년까지 매출 연평균 8%·영업이익률 5~6% 달성
행사에서 현대모비스는 창사 50주년인 2027년까지 연 평균 매출성장률 8% 이상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영업이익률 목표치는 5~6%로 정했다. 매출 규모의 지속 상승을 유지하면서 영업이익률을 함께 성장시키는 사업 방향이다.
해당 사업 방향성 설절은 전동화와 전장사업 중심의 핵심부품 매출 증가와 그룹사 이외 글로벌 완성차 대상 매출 비중 확대를 근거로 한다. 현대모비스는 국내외 전동화 신거점의 동시다발 가동과 전장부품 및 글로벌 완성차 매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이규석 사장은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매출 성장이 본격화돼 수익성에 기반한 질적 성장이 기대된다”며 “선도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부품 제조 부문 글로벌 완성차 대상 매출 비중도 2033년에는 40%까지 확대해 글로벌 톱 3 부품사로 도약하겠다”고 다짐했다.
여기에 주주환원 정책도 진행한다. 현재 20% 수준인 TSR을 향후 3년간 3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TSR은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감안해 주주들이 일정 기간 얻을 수 있는 총환원율이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을 3년에 걸쳐 소각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이규석 사장은 “글로벌 탑 플레이어로 도약하기 위한 선제적 투자에 집중하는 동안 잠시 정체를 경험했지만 이제는 수익성에 기반해 질적 성장을 이뤄야 하는 시점”이라며 “매출과 이익의 안정적인 동반성장, 투자와 주주환원의 밸런스를 맞춰 회사의 기업가치를 글로벌 위상에 맞게 재정립하겠다”고 말했다.

■ 밸류업 방안, ‘선도 기술 경쟁력 확보’·‘수익성 중심 사업체질 개선’ 제시
밸류업을 위한 방안으로는 ‘선도 기술 경쟁력 확보’와 ‘수익성 중심 사업체질 개선’을 제시했다.
선도 기술경쟁력 확보 방안은 전동화 기반 차량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라는 모빌리티 트렌드에 대한 대응 기조를 근간으로 한다. 핵심 제조 분야인 전동화, 전장, 샤시안전 등 모든 영역에서 요소기술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전동화 분야에서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및 ‘보급형 전기차 구동 시스템’ 등 시장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선제적으로 개발한다. 현대모비스는 그룹사의 EREV 전략에 맞춰 구동 시스템 등 자체 설계 사양 개발과 함께 글로벌 수주를 확대한다. 현재 설계검증 및 평가를 앞둔 EREV는 2026년 말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더해 배터리시스템 안전성 강화 등으로 캐즘 이후를 대비하고 구동 시스템의 라인업도 확대한다. 현재 시장 상황에 맞춘 120kW(킬로와트)급 보급형 구동 시스템을 내년까지 개발해 유럽과 인도 등 소형 EV 중심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보급형 구동 시스템에서는 현재 전기차 시장 주력인 160kW급 대비 약 70%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춘다. 대형 EV용 250kW급 구동 시스템은 현재 개발완료 단계로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 대상 수주 활동을 진행 중이다.
전장 분야에서는 SDV에 유연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제어 플랫폼과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토탈 솔루션 제공에 집중한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디스플레이, 사운드, IVI 통합 제어기까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SDV 플랫폼의 하드웨어 포트롤리오와 소프트웨어 요소 기술도 보유 중이다. 첫 SDV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비전 링크’도 북미 전기차 업체와 협업해 컨셉 개발을 완료한 상태다. 해당 플랫폼의 프로모션은 내년부터 실시한다.
샤시·안전 분야에서는 기계 장치를 전기 신호로 대체하는 전자식 제동 시스템(EMB)과 전자식 조향장치(SBW) 등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을 강화한다. 이규석 사장은 이러한 경쟁력 강화를 기반으로 2030년 글로벌 샤시안전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겠다고 설명했다.
반도체의 경우 팹리스(설계 전문) 중심으로 독자 설계 역량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제어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폭스바겐, 벤츠, 스탤란티스 등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모듈 공급 파트너십을 확보한 상황이다. 전장과 반도체 등 미래 모빌리티 핵심 시장에서는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영상인식, 전장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광학 기업 ZEISS와는 홀로그래픽 HUD(헤드업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수익성 강화와 리소스 최적화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성장 사업(전동화, 전장)과 안정화 사업(모듈, 샤시, 안전, 램프, 서비스부품)으로 구분해 진행한다. 성장 사업에서는 기술 확보와 시장 확대에 집중한다. 안정화 사업에서는 수익성의 안정적 확보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한다. 여기에 제품 라인업을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개편하고 수주부터 양산까지 단계별 수익성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원가경쟁력을 강화한다.

■ 탄소중립 달성 포함 ESG 경영 지속 확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포함한 ESG 경영도 지속 확대한다.
재생에너지 전환율은 2025년까지 35%를 달성한다. 사업장 지속가능성 실사율의 경우 제조사업장은 2025년까지, 부품사업장은 2027년까지 100%로 높인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일정도 구체화했다. 2030년 30% 감축에 이어 2040년에는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 제로를 달성한다. 2045년에는 공급망을 포함해 'NET 제로'를 완성한다.
현대모비스는 제품 생산 단계인 Scope 1,2에 더해 원료 및 부품 생산 단계인 Scope 3도 탄소배출에서 자유롭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의사결정 체계 투명성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이사회 중심 경영과 소통 강화로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