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철강업에 대한 대 미 수출 관세의 반전은 없었다. 한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분야의 관세는 50%에서 변하지 않았다. 국내 철강 업체들은 확 떨어진 철강 경쟁력 회복이라는 당면 과제에 직면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30일 사회관계망서비스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과 미국이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 간 무역 합의에 따라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는 이번달 7일 서한을 통해 공개한 25%에서 15%로 정해졌다. 다만 50% 품목 관세가 적용되던 철강과 알루미늄은 이번 협상에서 제외돼 변동사항이 없다. 앞서 미국과 협의를 체결한 유럽연합과 일본의 철강 관세도 50%에서 달라지지 않았다.
국내 철강 업계는 고관세에 비상이 걸렸다. 대미 철강 수출 비중이 적지 않은 만큼 국내 철강사들은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철강 수출 중 미국의 비중은 13.1%를 차지했다. 한국의 철강 수출국들 중 가장 큰 비중이다.
정부는 대미 철강 수출에 대한 관세를 낮추지 못한 상황에서 국내 업체들에 대한 지원책 마련을 준비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미국에서 25% 관세를 처음 부과했을 때 이슈에 더해 올해 3월 발표한 철강 불공정 수입 관련 대책에 있던 내용을 이행하고 있다”며 “50% 관세에 대해서는 추가로 준비하고 있고 다양한 부분에 정기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3월 정부는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에 대응해 통상 대응 패키지 지원 등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불공정 철강 수입재의 국내 유입 차단 방안도 발표했다. 해당 지원 방안들을 유지하며 추가적인 지원책 마련으로 50% 관세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철강 업계는 미국 고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관세 인하가 없으면 국제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마땅한 현실적 대안이 없다는 입장이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수출 다변화 차원 등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우선 대미 수출 쿼터제를 유지하거나 관세 인하가 추가 검토해야 하고 그 외의 대책은 미봉책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철강 관세로 인한 타격의 경우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강관 업체에 타격이 클 전망이다. 지난해 미국 수출에서 강관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3.9%에 달했다. 넥스틸과 하이스틸 등 강관을 제조해 미국에 수출하는 업체들의 경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기존 미국 수출을 많이 하던 강관 업체 같은 경우 타격이 크지 않을까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면서도 “주요 기업같은 경우에는 타격이 있겠지만 시장이 다변화됐기에 피해가 상대적으로 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강관 업체 중에서도 세아제강 등 미국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경우 관세에 대응할 여지가 많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주요 철강 업체들도 미국 공장 투자에 더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는 중이다.

고관세 부과가 이어지더라도 국내 철강 업체들의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상실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의 철강 관세도 50%이므로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 가격이 모두 오르기 때문이다.
이재윤 산업연구원 실장은 “철강 관세는 고정된 만큼 미국에서 철강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상당히 강하다”면서도 “미국이 비싸진 수입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자체 생산을 많이 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재윤 실장은 “미국 시장에서 일본제철이 US스틸을 업그레이드해 바로 수입을 중단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기에 기회를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며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미국에서 대체하기 어려운 품목들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자동차용 고강도 강판, 전기강판, 강관 등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을 갖춘 제품들의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주요 업체들의 경우 수소환원제출과 선박용 특수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철강 업체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 당분간 고전이 예상되는 만큼 미국 시장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 품목별 수출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