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호 사장도 신경 안쓰는 공직기강…서울교통공사, 해이 선 넘었다
2024-11-11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 협상이 6일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출근길 교통대란을 피했다.
서울교통공사와 제1노조인 민주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노조는 이날 오전 2시께 임단협 본교섭 합의서에 서명했다.
이로써 노조는 이날 첫차부터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던 파업 계획을 철회했다.
노사는 전날 오후 4시 13분께 서울 성동구 본사 인재개발원에서 5차 본교섭에 들어갔다.
이후 네 차례 정회와 속개를 거듭하며 내부 회의를 진행한 끝에 날짜를 넘겨 오전 1시 24분께 최종 교섭 테이블에 마주 앉았고, 합의에 도달했다.
합의문에는 630여명의 신규 채용을 조속히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년퇴직 인원(올해 301명) 충원과 더불어 결원 인력에 상응하는 추가 채용을 하기로 했다.
애초 서울시의 서울교통공사 채용 승인 인력은 464명이었다.
노조가 인력 감축과 이용객 안전을 이유로 우려를 표했던 2호선 1인 승무제 도입에 대해서는 ‘노동자와 이용 승객 안전을 고려해 도입을 중단한다’는 사측 대표의 입장을 최종 확인했다고 노조는 밝혔다.
임금 인상은 올해 공공기관 인건비 지침인 2.5%로 합의했다.
또 노사는 정부와 서울시 정책사업 수행때 추가로 발생하는 인건비는 전체 인건비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 건의하고, 기후동행카드 판매 손해금 중 공사 재정 분담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서울시에 건의하기로 했다.
직원 사기진작과 합리적 제도설계를 위한 임금·인사분야 노사 공동 태스크포스(TF)도 내년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공사는 또 제2노조인 한국노총 소속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 제3노조인 올바른노조와도 이날 오전 2시 50분과 오전 4시 20분께 임단협 교섭을 잇달아 타결했다.
합의안은 임금 2.5% 인상, 신규 채용 630여명 등 핵심 내용은 1노조와 큰 틀에서 같고 그 외 근무조건 관련 세부 내용만 약간 다르다.
올해 7월 기준 노조별 조합원 비중은 1노조가 60.0%로 가장 많고 2노조 16.7%, 3노조 12.9% 순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파업으로 인한 더 큰 시민 불편은 결코 없어야 한다는 각오로 협상에 임했다”며 ”앞으로 노사가 긴밀히 협력해 안전하고 편리한 지하철로 시민의 일상과 함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별도 메시지를 내고 “지하철 정상 운행을 위해 애써주신 노사 양측과 각자의 일상에서 교섭 결과를 기다려주신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코레일과 연계해 운행하는 1·3·4호선은 철도노조 파업으로 정상화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열차 추가 운행, 역사 내 안전요원 투입 등의 보완 대책을 통해 정상 운행 재개 시까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