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호석유화학은 25일 금호석유화학 본사 건물에서 열린 제4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회사 측 안건이 모두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사회 의장을 맡은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공급 과잉 등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내실 경영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적극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3대 신성장으로는 △친환경 자동차 솔루션 강화 △바이오·지속가능소재 확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전환 가속화를 언급하며 “사업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사내이사 박준경 선임의 건과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박상수 선임의 건 등을 포함한 5개 안건이 의제로 나왔다.
사외이사 4인 선임 건의 경우 기존 박상수, 권태균, 이지윤 후보에 대한 재선임이 이뤄졌다. 여기에 민세진 동국대학교 경제학교 교수를 신규 선임했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주주총회 결과와 관련해 “기존 경영진에 대한 재신임을 비롯해 회사 측에서 선임한 사외이사가 주주들의 지지를 받으며 안정적 기업 운영으로 업황 회복에 집중하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직면한 석유화학업계 위기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주주총회에서 박철완 전 상무 측 주주제안·의결권 행사 없어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박철완 전 상무 측의 주주제안이 없었다. 박 전 상무는 금호석유화학 지분 9.51%를 보유한 개인 최대주주다. 2021년부터 주주제안을 내놓으며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빚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금호석유화학 정기주주총회에 앞서 주주제안을 내놓았다. 지난해 2월에는 주주 권한을 차파트너스자산운용에 위임해 이사진 진입과 자기주식 100% 소각 안건 통과를 시도했다. 세 차례의 해당 주주제안은 모두 통과되지 못했다.
금호석유화학에 따르면 박철완 전 상무는 올해 별다른 주주제안을 내지 않았고 주주총회에서도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았다. 앞서 차파트너스자산운용은 지난 7일 박 전 상무와 공동 보유 계약과 특별관계를 해소했다. 약 4년간 이어진 경영권 분쟁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모양새다.
금호석유화학은 박철완 전 상무와 차파트너스운용의 특수관계인 해소에 따라 향후 박 전 상무 측이 경영권 분쟁을 도모할 수 있는 명분과 주체가 더욱 약화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이날 금호석유화학 이사진은 정원 10명을 모두 채웠다. 이사진의 최소 임기인 2027년 3월까지 박 전 상무 측의 이사회 진입은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댓글
(0) 로그아웃